천주교 세례명/세례명 날짜 찾기

3월 19일 남자세례명 14가지

피어나네 2023. 3. 19. 08:00
반응형

 

3월 19일에 해당하는 남자세례명 란도알도, 레온시오 (순교자), 레온시오 (주교), 마르코, 아만시오, 아폴로니오, 안드레아, 알크문도, 요셉, 요한, 제모, 퀸토, 판카리오, 하드리아노, 총 14분 목록이에요.

 

3월 19일이 영명축일인 남자세례명은 어떤 이름이 좋을까요? 아래 세례명 목록을 클릭하면 해당하는 천주교 세례명 상세정보로 이동합니다. 어울리는 세례명을 지금 바로 찾아보세요.

 

3월 19일 여자세례명 콰르틸라, 퀸틸라, 총 2분 목록은 여기에 있어요.

 

 

 

 

세례명 어떤 이름이 좋을까?

3월 19일
천주교 남자세례명
14가지

 

 

 

 

3월 19일 남자세례명 목록

 

  1. 란도알도

  2. 레온시오 (순교자)

  3. 레온시오 (주교)

  4. 마르코

  5. 아만시오

  6. 아폴로니오

  7. 안드레아

  8. 알크문도

  9. 요셉

  10. 요한

  11. 제모

  12. 퀸토

  13. 판카리오

  14. 하드리아노

 

3월 19일 천주교 남자세례명 14가지

 

 

1. 란도알도

 

  • 가톨릭 성인 이름
    Landoald

  • 호칭 구분
    성인

  • 신분과 직업
    신부, 선교사

  • 활동 연도와 지역
    +668년경

 

 

란도알도 남자 세례명과 같은 이름

란도알두스, 란도알드.

 

 

란도알도 자료

교황 성 마르티누스 1세(Martinus I)가 네델란드와 벨기에에 선교사로 파견한 사람들 가운데 가장 돋보이는 이가 성 란도알두스(Landoaldus, 또는 란도알도) 신부와 성 아만티우스(Amantius) 부제이다.

성 란도알두스는 로마(Roma) 교회의 사제로서 롬바르디아(Lombardia) 가문 태생이며, 선교열이 가득하던 사람이었으므로 그의 공로 또한 괄목할만하였다.

그는 뫼즈(Meuse)와 쉘트 중간 지역에서 주로 선교활동을 하였다. 그는 빈터스호벤(Wintershoven)에 본부를 두고 수많은 교회를 세웠다. 그러던 중에 그는 도둑들에게 살해되었다.

 

(출처 : 가톨릭 굿뉴스)

 

 


 

2. 레온시오 (순교자)

 

  • 가톨릭 성인 이름
    Leontius

  • 호칭 구분
    성인

  • 신분과 직업
    주교, 순교자

  • 활동 연도와 지역
    연대미상

 

 

레온시오 (순교자) 남자 세례명과 같은 이름

레온시우스, 레온씨오, 레온씨우스, 레온티오, 레온티우스.

 

 

레온시오 (순교자) 자료

성 아폴로니우스(Apollonius)와 성 레온티우스(또는 레온시오) 주교에 대해서는 그들의 주교좌나 순교 연대에 대해 알려진 것이 없다.

다만 그들의 이름은 이미 성 히에로니무스(Hieronymus)의 순교록에서 발견된다. 포르투갈 사람들은 이 두 주교를 자기 나라의 브라가(Braga) 교구의 주교라고 주장한다.

 

(출처 : 가톨릭 굿뉴스)

 

 


 

3. 레온시오 (주교)

 

  • 가톨릭 성인 이름
    Leontius

  • 호칭 구분
    성인

  • 신분과 직업
    주교

  • 활동 연도와 지역
    +640년 생트

 

 

레온시오 (주교) 남자 세례명과 같은 이름

레온시우스, 레온씨오, 레온씨우스, 레온티오, 레온티우스.

 

 

레온시오 (주교) 자료

프랑스 서부 생트의 주교 성 레온티우스(또는 레온시오)는 성 말로(Malo, 11월 15일)의 친구로 성 말로가 브르타뉴(Bretagne)에서 추방되었을 때 그를 자신의 교구로 받아들였다.

 

(출처 : 가톨릭 굿뉴스)

 

 


 

4. 마르코

 

  • 가톨릭 성인 이름
    Mark

  • 호칭 구분
    성인

  • 신분과 직업
    순교자

  • 활동 연도와 지역
    연대미상

 

 

마르코 남자 세례명과 같은 이름

마르꼬, 마르꾸스, 마르쿠스, 마크, 말구.

 

 

마르코 자료

성 퀸투스(Quinctus), 성녀 퀸틸라(Quinctilla), 성녀 콰르틸라(Quartilla), 성 마르코(Marcus)와 동료 순교자들은 이탈리아 소렌토(Sorrento)에서 공경을 받고 있다. 성 퀸투스, 성녀 퀸틸라 그리고 성녀 콰르틸라는 형제자매 사이로 추정된다.

 

(출처 : 가톨릭 굿뉴스)

 

 


 

5. 아만시오

 

  • 가톨릭 성인 이름
    Amantius

  • 호칭 구분
    성인

  • 신분과 직업
    부제, 선교사

  • 활동 연도와 지역
    +668년경

 

 

아만시오 남자 세례명과 같은 이름

아만시우스, 아만씨오, 아만씨우스, 아만티오, 아만티우스.

 

 

아만시오 자료

교황 성 마르티누스 1세(Martinus I)가 네델란드와 벨기에에 선교사로 파견한 사람들 가운데 가장 돋보이는 이가 성 란도알두스(Landoaldus) 신부와 성 아만티우스(또는 아만시오) 부제이다.

성 란도알두스는 로마(Roma) 교회의 사제로서 롬바르디아(Lombardia) 가문 태생이며, 선교열이 가득하던 사람이었으므로 그의 공로 또한 괄목할만하였다.

그는 뫼즈(Meuse)와 쉘트 중간 지역에서 주로 선교활동을 하였다. 그는 빈터스호벤(Wintershoven)에 본부를 두고 수많은 교회를 세웠다. 그러던 중에 그는 도둑들에게 살해되었다.

 

(출처 : 가톨릭 굿뉴스)

 

 


 

6. 아폴로니오

 

  • 가톨릭 성인 이름
    Apollonius

  • 호칭 구분
    성인

  • 신분과 직업
    주교, 순교자

  • 활동 연도와 지역
    연대미상

 

 

아폴로니오 남자 세례명과 같은 이름

아뽈로니오, 아뽈로니우스, 아폴로니우스.

 

 

아폴로니오 자료

성 아폴로니우스(또는 아폴로니오)와 성 레온티우스(Leontius) 주교에 대해서는 그들의 주교좌나 순교 연대에 대해 알려진 것이 없다. 다만 그들의 이름은 이미 성 히에로니무스(Hieronymus)의 순교록에서 발견된다. 포르투갈 사람들은 이 두 주교를 자기 나라의 브라가(Braga) 교구의 주교라고 주장한다.

 

(출처 : 가톨릭 굿뉴스)

 

 


 

7. 안드레아

 

  • 가톨릭 성인 이름
    Andrew

  • 호칭 구분
    복자

  • 신분과 직업
    설립자

  • 활동 연도와 지역
    +1251년 시에나

 

 

안드레아 남자 세례명과 같은 이름

안드레아스, 앙드레, 앤드루, 앤드류.

 

 

안드레아 자료

안드레아 데 갈레라니(Andreas de Gallerani)는 원래 군인이었는데, 시에나 군을 이끌고 오르비에토(Orvieto) 군을 대파한 경험이 있었다.

그런데 하느님을 공개적으로 모독하는 어떤 사람을 살해한 후 그는 살해된 이의 친구들의 보복을 피하기 위해 해안에서 가까운 가족 영지에 숨어서 지냈다. 그 후 시에나로 진출한 안드레아는 전적으로 자선활동만을 하면서 회개생활을 하였다.

그는 시에나에 자비회를 세우고 병자를 돕고 병원을 세우기도 하였다. 한마디로 그는 자선활동과 기도 외에는 다른 곳에 힘을 쏟지 않았다. 십자가 표시 외에 M자를 새겨놓은 옷을 입었던 자비회원들은 1308년에 도미니코회와 합칠 때까지 활발한 활동을 계속하였다.

 

(출처 : 가톨릭 굿뉴스)

 

 


 

8. 알크문도

 

  • 가톨릭 성인 이름
    Alcmund

  • 호칭 구분
    성인

  • 신분과 직업
    순교자

  • 활동 연도와 지역
    +800년경

 

 

알크문도 남자 세례명과 같은 이름

알크문두스, 알크문드.

 

 

알크문도 자료

성 알크문두스(Alcmundus, 또는 알크문도)는 노섬브리아(Northumbria)의 왕 알데드의 조카인데, 오스레드란 사람이 노섬브리아의 왕권을 쟁취하려는 와중에 성 알크문두스를 살해하였다고 한다. 그의 유해는 릴스홀에 있는데 수많은 기적이 일어난다고 한다.

 

(출처 : 가톨릭 굿뉴스)

 

 


 

9. 요셉

 

  • 가톨릭 성인 이름
    Joseph

  • 호칭 구분
    성인

  • 신분과 직업
    마리아의 남편

  • 활동 연도와 지역
    +1세기경

 

 

요셉 남자 세례명과 같은 이름

요세푸스, 요제프, 조세푸스, 조세프, 조셉, 조제프, 주세페, 쥬세페, 호세.

 

 

요셉 자료

예수님의 양아버지이자 복되신 동정 마리아의 배필이신 성 요셉(Josephus)에 대해서는 마태오 복음 1-2장과 루카 복음 1-2장의 예수님 탄생과 유년 이야기에 나오는 것이 성경에서 찾을 수 있는 대부분의 내용이다.

이에 따르면 성 요셉은 다윗(David) 왕가의 후손이고, 요셉 가문은 유다 지방 베들레헴에서 나왔지만, 당시 성 요셉은 갈릴래아 지방 나자렛에 살면서 목수 일을 하고 있었고, 의로운 사람으로 인정받고 있었다.

그는 마리아와 약혼하였으나 같이 살기 전에 ‘성령으로 말미암아’ 아기를 가진 마리아와 파혼하지 말라는 천사의 말을 듣고 천사가 명한 대로 마리아를 아내로 맞아들였다.

그는 마리아와 함께 아기 예수님을 경배하러 온 동방박사와 목자들의 방문을 받았고, 율법의 규정대로 할례를 베풀고, 정결례를 행하는 날 예루살렘 성전에서 아기 예수님의 봉헌 예식을 가졌다. 그리고 헤로데의 영아 학살을 피하고자 가족을 이끌고 이집트로 피신하였고, 헤로데가 죽은 뒤에야 가족을 데리고 나자렛으로 돌아와 살았다.

예수님이 열두 살 되던 해에, 그는 매년 하던 대로 파스카 축제를 지내러 마리아와 소년 예수님을 데리고 예루살렘을 다녀오다가 예수님을 잃어버린 것을 알고 다시 돌아가 예루살렘 성전에서 율법 교사들과 함께 이야기하는 아들을 찾기도 했다.

이후 성 요셉은 루카 복음 4장 22절을 제외하고는 신약성경에서 언급되지 않는다. 성 요셉은 아마도 그리스도의 수난과 죽음 이전에 선종한 것으로 여겨진다. 외경인 “야고보의 원복음서”에는 그가 마리아와 결혼하였을 때 이미 노인이었다고 말하기도 한다.

성 요셉에 대한 공경은 동방 교회에서부터 시작되었는데, "요셉 이야기"라는 외경은 4세기부터 7세기까지 대중들로부터 사랑받는 인기 있는 책이었다.

서방 교회에서는 ‘주님의 양부’라는 칭호로 9-10세기에 일부 지역에서부터 시작해 ‘마리아의 배필’로서 성모님 공경과 함께 빠르게 전파되었고, 12세기경에 3월 19일이 요셉 성인의 축일로 정착되었다.

14세기에 들어서면서 작은 형제회를 중심으로 성 요셉에 대한 공경과 축일이 전파되다가 1479년 교황 식스투스 4세(Sixtus IV)에 의해 성 요셉 축일이 전 교회로 확대되었다.

성 요셉 신심은 특히 아빌라(Avila)의 성녀 테레사(Teresia, 10월 15일)와 성 프란치스코 드 살(Francis de Sales, 1월 24일)에 의해 보편화되었고, 1870년에 교황 비오 9세(Pius IX)는 성 요셉을 ‘가톨릭 교회(보편 교회)의 수호성인’으로 선포했다.

교황 레오 13세(Leo XIII)는 1889년 성 요셉을 가장(家長)의 모범으로 선포하면서 성인들 가운데서 성모님 다음의 위치로 올렸다.

‘노동자의 수호자’란 칭호는 교황 베네딕투스 15세(Benedictus XV)가 부여하였고, 교황 비오 11세(Pius XI)는 ‘사회정의의 수호자’로, 또한 비오 12세는 1955년 공산주의자들의 노동절에 대응해서 5월 1일을 ‘노동자 성 요셉 축일’로 제정하였다.

성 요셉은 가톨릭교회 전체와 여러 나라와 단체의 수호성인으로 공경을 받고 있고, 또한 노동자와 가정뿐만 아니라 특별히 임종자들의 수호성인이다.

교회미술에서 성 요셉은 보통 백합꽃이 핀 지팡이나 목수 일에 필요한 연장을 들거나 아기 예수님을 안은 모습으로 등장한다.

 

(출처 : 가톨릭 굿뉴스)

 

 


 

10. 요한

 

  • 가톨릭 성인 이름
    John

  • 호칭 구분
    성인

  • 신분과 직업
    수도원장

  • 활동 연도와 지역
    +6세기경 파나카

 

 

요한 남자 세례명과 같은 이름

얀, 요안네스, 요한네스, 이반, 장, 쟝, 조반니, 조안네스, 조한네스, 존, 죤, 지오반니, 한스, 후안.

 

 

요한 자료

동방 교회 내에서 그리스도 단성설 논쟁이 한창일 때 성 요한(Joannes)이라는 어느 시리아 사람이 고향을 떠나와서 이탈리아 스폴레토(Spoleto)에서 과히 멀지 않는 곳에 수도원을 세우고 원장이 되었다. 그는 또 페자로(Pesaro) 교외에도 수도원을 세웠다. 그는 살아있는 성인으로 공경을 받다가 44세경에 고요히 눈을 감았다.

 

(출처 : 가톨릭 굿뉴스)

 

 


 

11. 제모

 

  • 가톨릭 성인 이름
    Gemus

  • 호칭 구분
    성인

  • 신분과 직업
    수도승, 증거자

  • 활동 연도와 지역
    연대미상 모이인무티에

 

 

제모 남자 세례명과 같은 이름

게모, 게무스, 제무스.

 

 

제모 자료

성 게무스(또는 제모)는 아마도 오늘날 프랑스 북동부 알자스(Alsace) 지방 모이인무티에의 수도승으로 추정된다. 그의 유해는 독일의 호르바흐(Horbach)에 모셔져 있다.

 

(출처 : 가톨릭 굿뉴스)

 

 


 

12. 퀸토

 

  • 가톨릭 성인 이름
    Quintus

  • 호칭 구분
    성인

  • 신분과 직업
    순교자

  • 활동 연도와 지역
    연대미상

 

 

퀸토 남자 세례명과 같은 이름

귄또, 귄뚜스, 귄토, 귄투스, 뀐또, 뀐뚜스, 퀸투스.

 

 

퀸토 자료

성 퀸투스(Quinctus, 또는 퀸토), 성녀 퀸틸라(Quinctilla), 성녀 콰르틸라(Quartilla), 성 마르코(Marcus)와 동료 순교자들은 이탈리아 소렌토(Sorrento)에서 공경을 받고 있다. 성 퀸투스, 성녀 퀸틸라 그리고 성녀 콰르틸라는 형제자매 사이로 추정된다.

 

(출처 : 가톨릭 굿뉴스)

 

 


 

13. 판카리오

 

  • 가톨릭 성인 이름
    Pancharius

  • 호칭 구분
    성인

  • 신분과 직업
    순교자

  • 활동 연도와 지역
    +303년 니코메디아

 

 

판카리오 남자 세례명과 같은 이름

판까리오, 판까리우스, 판카리우스.

 

 

판카리오 자료

성 판카리우스(또는 판카리오)는 로마 원로원 의원으로 막시미아누스 황제의 총애를 받았다. 그리스도교에 대한 박해가 발발했을 때 그는 그의 신앙을 부인하거나 숨겼다. 그러나 그의 어머니와 여자 형제로부터 편지를 받고 성 판카리우스는 용맹하게 그리스도를 고백하고 니코메디아에서 참수형을 받아 순교하였다.

 

(출처 : 가톨릭 굿뉴스)

 

 


 

14. 하드리아노

 

  • 가톨릭 성인 이름
    Hadrian

  • 호칭 구분
    성인

  • 신분과 직업
    순교자

  • 활동 연도와 지역
    +668년 마이에스트리히

 

 

하드리아노 남자 세례명과 같은 이름

아드리아노, 아드리아누스, 아드리안, 하드리아누스, 하드리안.

 

 

하드리아노 자료

성 하드리아누스(Hadrianus, 또는 하드리아노)는 성 란도알두스(Landoaldus)의 제자였다. 그는 마이에스트리히 부근에서 공동체를 위한 자선금을 구하던 중 강도에 의해 살해되었다. 그 후 그는 그 지역에서 순교자로서 공경을 받아왔다.

 

(출처 : 가톨릭 굿뉴스)

 

 


 

그 외 세례명 날짜로 찾기

 

날짜순 천주교 세례명

어떤 세례명이 좋을까?

pieonane.com

 


 

그 외 세례명 이름으로 찾기

 

이름순 가톨릭 세례명

본받고 싶은 가톨릭 성인 찾기

pieonane.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