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주교 세례명/세례명 날짜 찾기

10월 3일 남자세례명 16가지

피어나네 2023. 10. 12. 16:00
반응형

 

10월 3일에 해당하는 남자세례명 도미니코 스파다포라, 디오니시오, 루치오, 막시미아노, 바오로, 베드로, 에발도(검은), 에발도(금발의), 에우세비오, 제라르도, 카이레몬, 카이오, 칸디도, 파우스토, 프로일라노, 헤시키오, 총 16분 목록이에요.

 

10월 3일이 영명축일인 남자세례명은 어떤 이름이 좋을까요? 아래 세례명 목록을 클릭하면 해당하는 천주교 세례명 상세정보로 이동합니다. 어울리는 세례명을 지금 바로 찾아보세요.

 

10월 3일 여자세례명 마리아 요세파 로셀로, 멘나, 테오도라 게랭, 총 3분 목록은 여기에 있어요.

 

 

 

 

세례명 어떤 이름이 좋을까?

10월 3일
천주교 남자세례명
16가지

 

 

 

 

10월 3일 남자세례명 목록

 

  1. 도미니코 스파다포라

  2. 디오니시오

  3. 루치오

  4. 막시미아노

  5. 바오로

  6. 베드로

  7. 에발도(검은)

  8. 에발도(금발의)

  9. 에우세비오

  10. 제라르도

  11. 카이레몬

  12. 카이오

  13. 칸디도

  14. 파우스토

  15. 프로일라노

  16. 헤시키오

 

10월 3일 천주교 남자세례명 16가지

 

 

1. 도미니코 스파다포라

 

  • 가톨릭 성인 이름
    Dominic Spadafora

  • 호칭 구분
    복자

  • 신분과 직업
    신부, 선교사

  • 활동 연도와 지역
    +1521년

 

 

도미니코 스파다포라 남자 세례명과 같은 이름

도미니꼬, 도미니꾸스, 도미니쿠스, 도미니크, 도미닉, 도밍고, 스빠다포라.

 

 

도미니코 스파다포라 자료

1450년경 시칠리아(Sicilia) 섬에서 태어난 도미니코 스파다포라(Dominicus Spadafora)는 팔레르모(Palermo)의 성녀 지타(Zita) 수도원에서 설교자회에 입회하였다.

사제품을 받은 후 그는 파도바(Padova)로 파견되어 그곳에서 공부하며 몇 년 동안 학생들을 가르쳤다. 그 후 그는 팔레르모로 돌아와 선교사로서 8년 동안 시칠리아 사람들에서 설교하여 큰 성과를 거두었다. 1487년 신학박사 학위를 취득하면서 그는 로마의 총원에서 총장의 협조자로서 활동하게 되었다.

그 후 그는 시칠리아의 몬테 체리뇨네(Monte Cerignone)에 엄격한 규율을 지키는 은총의 모후 수도원을 설립하기 위해 로마를 떠났다. 그리고 그곳에서 원장으로서 일생을 보내며 선교여행과 수많은 활동을 통해 영혼 구원사업에 큰 성공을 거두었다.

그는 1521년 12월 21일 평소와 같이 저녁기도 후에 수도자들에게 강의한 후 선종하였다. 도미니코 수도회에서는 그의 축일을 10월 3일(유해 이장일, 1677년)에 기념하고 있다.

 

(출처 : 가톨릭 굿뉴스)

 

 


 

2. 디오니시오

 

  • 가톨릭 성인 이름
    Dionysius

  • 호칭 구분
    성인

  • 신분과 직업
    의회 의원, 주교, 순교자

  • 활동 연도와 지역
    +1세기말 아레오파고스

 

 

디오니시오 남자 세례명과 같은 이름

데니스, 드니, 디오니시우스, 디오니씨오, 디오니씨우스.

 

 

디오니시오 자료

성 디오니시우스(또는 디오니시오)는 사도 성 바오로(Paulus, 6월 29일)가 아테네에서 선교할 때 만난 인물이다(사도 17,16-34). 사도 성 바오로는 온갖 우상으로 가득 찬 아테네에 도착한 후 회당과 광장에서 유다인뿐만 아니라 아테네의 여러 철학자들과 토론하며 복음을 전했다.

낯설고 새로운 이야기를 듣게 된 그들은 사도 성 바오로를 ‘아레오파고스’(전쟁의 신인 ‘아레스의 언덕’이란 뜻)라고 부르는 나지막한 돌산으로 데려갔다. 그곳에서 사도 성 바오로는 아테네 시민을 향해 ‘알지 못하는 신에게’라고 시작하는 설교를 통해 창조주 하느님과 구세주 그리스도 그리고 죽은 이들의 부활에 대해 선포했다.

그의 설교를 듣고 어떤 이들은 비웃었고, 어떤 이들은 약간의 관심만 보이며 돌아갔다. 그때 몇몇 사람이 사도 성 바오로의 말을 믿고 그의 편에 가담했는데, 그들 가운데 아레오파고스 의회 의원인 성 디오니시우스가 있었다. 그 외에 다마리스(Damaris)라는 여자와 몇몇 사람이 더 있었다.

성 디오니시우스와 다마리스라는 여자는 나중에 사도 성 바오로에 의해 개종하여 그리스도인이 되었다. 교회사가 에우세비우스(Eusebius)가 자신의 책에서 인용한 코린토스(Corinthos)의 성 디오니시우스(4월 8일)의 기록에 따르면, 의회 의원이었던 성 디오니시우스는 개종한 후 아테네의 초대 주교가 되었고, 95년경 도미티아누스 황제의 그리스도교 박해 때 화형을 당해 순교했다고 한다.

그는 아테네의 수호성인이자 재판관과 사법부의 수호자로 공경을 받고 있고, 가톨릭교회와 동방 정교회에서 성인으로 기념하고 있다. 그런데 9세기 이후 그는 꽤 오랫동안 프랑스에서 파리(Paris)의 성 디오니시우스(10월 9일) 주교 순교자와 동일 인물로 여겨지는 혼동이 있었다.

이는 생드니 수도원의 원장이었던 힐두인(Hilduin)이 쓴 전기에서 나온 이야기로 파리를 학문의 중심지로 세우려는 노력과 ‘갈리아의 일곱 사도’ 중 하나인 파리의 성 디오니시우스를 사도 시대까지 시간을 거슬러 올라가 사도적 전통과 연결해 지역교회의 전통을 강조하려는 중세의 경향이 합쳐진 데서 비롯된 오해로 보인다.

실제로 옛 “로마 순교록”은 10월 9일 목록에서 아레오파고스의 성 디오니시우스가 사도 성 바오로에게 세례를 받고 아테네의 초대 주교가 되었고, 로마로 가서 교황 클레멘스 1세(Clemens I, 11월 23일)의 축복을 받고 갈리아 지방 복음화를 위해 파견되었으며, 몇 년 동안 파리에서 맡겨진 직무를 충실히 수행한 후 성 루스티쿠스(Rusticus) 신부와 성 엘레우테리우스(Eleutherius, 10월 9일) 부제와 함께 참수형으로 순교했다고 기록하였다.

하지만 2001년 개정 발행되어 2004년 일부 수정 및 추가한 “로마 순교록”은 이러한 오류에 빠지지 않고 10월 9일에 파리의 성 디오니시우스 주교와 동료들의 순교를, 그리고 10월 3일에 아레오파고스의 성 디오니시우스 주교를 기념하도록 수정하여 기록하였다. 그럼으로써 그들의 활동 시기 또한 3세기와 1세기로 명확히 구분했다.

 

(출처 : 가톨릭 굿뉴스)

 

 


 

3. 루치오

 

  • 가톨릭 성인 이름
    Lucius

  • 호칭 구분
    성인

  • 신분과 직업
    순교자

  • 활동 연도와 지역
    +257년경

 

 

루치오 남자 세례명과 같은 이름

루기오, 루치우스, 루키오, 루키우스.

 

 

루치오 자료

옛 “로마 순교록”은 10월 3일 목록에서 거룩한 순교자 성 디오니시우스(Dionysius), 성 파우스투스(Faustus), 성 카이우스(Cajus), 성 베드로(Petrus), 성 바오로(Paulus)와 다른 네 명의 동료가 데키우스 황제와 발레리아누스 황제 치하에서 오랫동안 에밀리아누스(Aemilianus) 총독에게 고통을 받고 순교의 월계관을 얻었다고 기록하였다.

그리고 10월 4일 목록에서 이집트의 알렉산드리아(Alexandria)에서 성 카이우스, 성 파우스투스, 성 에우세비우스(Eusebius), 성 카이레몬(Chaeremon), 성 루키우스(또는 루치오)와 동료들이 발레리아누스 황제의 박해 중에 순교한 것으로 전해주었는데, 이들은 전날 순교한 이들과 같은 동료들로 보인다.

2001년 개정 발행되어 2004년 일부 수정 및 추가한 “로마 순교록”은 이들을 모두 같은 날 기념하는 순교자들로 보았다. 그래서 10월 3일 목록에서 알렉산드리아에서 거룩한 순교자 성 파우스투스, 성 카이우스, 성 베드로, 성 바오로, 성 에우세비우스, 성 카이레몬, 성 루키우스와 다른 두 명의 동료가 데키우스 황제와 발레리아누스 황제 치하에서 에밀리아누스 총독에게 고통을 받고 순교하였다고 기록하였다.

그러면서 신앙의 증거자인 알렉산드리아의 주교 성 디오니시우스(4월 8일)도 그에 못지않게 큰 고통을 받았고, 그들 중에 성 파우스투스는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 치하에서 순교의 월계관을 받았다고 전해주었다. 하지만 다른 순교자들의 신분에 대해서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았다.

 

(출처 : 가톨릭 굿뉴스)

 

 


 

4. 막시미아노

 

  • 가톨릭 성인 이름
    Maximian

  • 호칭 구분
    성인

  • 신분과 직업
    주교, 증거자

  • 활동 연도와 지역
    +404년 바가이

 

 

막시미아노 남자 세례명과 같은 이름

막시미아누스, 막시미안, 막씨미아노, 막씨미아누스.

 

 

막시미아노 자료

성 막시미아누스(또는 막시미아노)는 누미디아(Numidia, 오늘날의 북아프리카) 지방 바가이의 주교이다. 그는 도나투스파(Donatism) 이단이 한창 아프리카에 혼란을 일으킬 때 주교가 되었다.

그러나 성 막시미아누스는 그 지방 그리스도인들이 반발하고 도나투스파 이단의 결정적인 적개심에서 기인한 밀레비스(Milevis) 공의회에서 그의 사의가 승인되자 주교좌에서 사임하였다.

그러나 이에 만족하지 못한 이단들은 그를 탑 위에서 집어 던졌다. 간신히 이단들의 공격에서 살아난 성 막시미아누스는 이탈리아로 갔고 그곳에서 호노리우스 황제로부터 그의 노고를 인정받았다.

 

(출처 : 가톨릭 굿뉴스)

 

 


 

5. 바오로

 

  • 가톨릭 성인 이름
    Paul

  • 호칭 구분
    성인

  • 신분과 직업
    순교자

  • 활동 연도와 지역
    +257년경

 

 

바오로 남자 세례명과 같은 이름

바울로, 바울루스, 빠울로, 빠울루스, 파울로, 파울루스, 폴.

 

 

바오로 자료

옛 “로마 순교록”은 10월 3일 목록에서 거룩한 순교자 성 디오니시우스(Dionysius), 성 파우스투스(Faustus), 성 카이우스(Cajus), 성 베드로(Petrus), 성 바오로(Paulus)와 다른 네 명의 동료가 데키우스 황제와 발레리아누스 황제 치하에서 오랫동안 에밀리아누스(Aemilianus) 총독에게 고통을 받고 순교의 월계관을 얻었다고 기록하였다.

그리고 10월 4일 목록에서 이집트의 알렉산드리아(Alexandria)에서 성 카이우스, 성 파우스투스, 성 에우세비우스(Eusebius), 성 카이레몬(Chaeremon), 성 루키우스(Lucius)와 동료들이 발레리아누스 황제의 박해 중에 순교한 것으로 전해주었는데, 이들은 전날 순교한 이들과 같은 동료들로 보인다.

2001년 개정 발행되어 2004년 일부 수정 및 추가한 “로마 순교록”은 이들을 모두 같은 날 기념하는 순교자들로 보았다. 그래서 10월 3일 목록에서 알렉산드리아에서 거룩한 순교자 성 파우스투스, 성 카이우스, 성 베드로, 성 바오로, 성 에우세비우스, 성 카이레몬, 성 루키우스와 다른 두 명의 동료가 데키우스 황제와 발레리아누스 황제 치하에서 에밀리아누스 총독에게 고통을 받고 순교하였다고 기록하였다.

그러면서 신앙의 증거자인 알렉산드리아의 주교 성 디오니시우스(4월 8일)도 그에 못지않게 큰 고통을 받았고, 그들 중에 성 파우스투스는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 치하에서 순교의 월계관을 받았다고 전해주었다. 하지만 다른 순교자들의 신분에 대해서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았다.

 

(출처 : 가톨릭 굿뉴스)

 

 


 

6. 베드로

 

  • 가톨릭 성인 이름
    Peter

  • 호칭 구분
    성인

  • 신분과 직업
    순교자

  • 활동 연도와 지역
    +257년경

 

 

베드로 남자 세례명과 같은 이름

베드루스, 페드로, 페트루스, 피터.

 

 

베드로 자료

옛 “로마 순교록”은 10월 3일 목록에서 거룩한 순교자 성 디오니시우스(Dionysius), 성 파우스투스(Faustus), 성 카이우스(Cajus), 성 베드로(Petrus), 성 바오로(Paulus)와 다른 네 명의 동료가 데키우스 황제와 발레리아누스 황제 치하에서 오랫동안 에밀리아누스(Aemilianus) 총독에게 고통을 받고 순교의 월계관을 얻었다고 기록하였다.

그리고 10월 4일 목록에서 이집트의 알렉산드리아(Alexandria)에서 성 카이우스, 성 파우스투스, 성 에우세비우스(Eusebius), 성 카이레몬(Chaeremon), 성 루키우스(Lucius)와 동료들이 발레리아누스 황제의 박해 중에 순교한 것으로 전해주었는데, 이들은 전날 순교한 이들과 같은 동료들로 보인다.

2001년 개정 발행되어 2004년 일부 수정 및 추가한 “로마 순교록”은 이들을 모두 같은 날 기념하는 순교자들로 보았다. 그래서 10월 3일 목록에서 알렉산드리아에서 거룩한 순교자 성 파우스투스, 성 카이우스, 성 베드로, 성 바오로, 성 에우세비우스, 성 카이레몬, 성 루키우스와 다른 두 명의 동료가 데키우스 황제와 발레리아누스 황제 치하에서 에밀리아누스 총독에게 고통을 받고 순교하였다고 기록하였다.

그러면서 신앙의 증거자인 알렉산드리아의 주교 성 디오니시우스(4월 8일)도 그에 못지않게 큰 고통을 받았고, 그들 중에 성 파우스투스는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 치하에서 순교의 월계관을 받았다고 전해주었다. 하지만 다른 순교자들의 신분에 대해서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았다.

 

(출처 : 가톨릭 굿뉴스)

 

 


 

7. 에발도(검은)

 

  • 가톨릭 성인 이름
    Ewald the Black

  • 호칭 구분
    성인

  • 신분과 직업
    신부, 순교자

  • 활동 연도와 지역
    +695년경

 

 

에발도(검은) 남자 세례명과 같은 이름

에발두스, 에발드, 헤발도, 헤발두스, 헤발드, 헤왈드.

 

 

에발도(검은) 자료

영국 북부 노섬브리아(Northumbria) 출신으로 신부가 된 성 에발두스(Ewaldus, 또는 에발도)는 같은 이름을 가진 두 사람으로 형제간이다.

그들은 아일랜드에서 교육을 받은 후 프리슬란트(Friesland)의 사도로 공경을 받는 성 빌리브로르두스(Willibrordus, 11월 7일) 선교단에 합류하여 694년에 독일 베스트팔렌(Westfalen)의 선교사로 파견되었다.

성 베다(Beda, 5월 25일)에 의하면 이 두 사람은 ‘검은 에발두스’(Ewald the Black)와 ‘금발의 에발두스’(Ewald the Fair)란 별명으로 구분해야 할 정도로 모든 면에서 서로 닮았다고 한다.

이들 형제는 10월 3일 도르트문트(Dortmund)의 아플레르베크(Aplerbeck) 지역에서 야만인들에게 살해되어 라인(Rhein) 강에 버려졌다. 이 야만인들은 성 에발두스 형제가 그 지방의 지도자들과 친분을 두텁게 하며 주민들을 그리스도교로 개종시킴과 동시에 야만적인 의식을 폐지하도록 종용하였기 때문에 죽였다고 한다.

그 지방의 족장은 살인자들을 사형에 처하고 이 형제를 높이 공경하였다고 전해온다. 이 형제의 시신은 동료 수도자에 의해 기적적으로 발견되었고, 후에 쾰른(Koln)의 성 쿠니베르투스(Cunibertus) 성당에 모셔졌다.

베스트팔렌의 수호성인으로 공경을 받는 이 형제는 754년 독일의 사도인 성 보니파티우스(Bonifatius, 6월 5일) 주교가 순교할 때까지 이 지역에서 순교한 마지막 선교사들이었다. 이들은 헤발두스(Hewaldus)로도 불린다.

 

(출처 : 가톨릭 굿뉴스)

 

 


 

8. 에발도(금발의)

 

  • 가톨릭 성인 이름
    Ewald the Fair

  • 호칭 구분
    성인

  • 신분과 직업
    신부, 순교자

  • 활동 연도와 지역
    +695년경

 

 

에발도(금발의) 남자 세례명과 같은 이름

에발두스, 에발드, 헤발도, 헤발두스, 헤발드, 헤왈드.

 

 

에발도(금발의) 자료

영국 북부 노섬브리아(Northumbria) 출신으로 신부가 된 성 에발두스(Ewaldus, 또는 에발도)는 같은 이름을 가진 두 사람으로 형제간이다.

그들은 아일랜드에서 교육을 받은 후 프리슬란트(Friesland)의 사도로 공경을 받는 성 빌리브로르두스(Willibrordus, 11월 7일) 선교단에 합류하여 694년에 독일 베스트팔렌(Westfalen)의 선교사로 파견되었다.

성 베다(Beda, 5월 25일)에 의하면 이 두 사람은 ‘검은 에발두스’(Ewald the Black)와 ‘금발의 에발두스’(Ewald the Fair)란 별명으로 구분해야 할 정도로 모든 면에서 서로 닮았다고 한다.

이들 형제는 10월 3일 도르트문트(Dortmund)의 아플레르베크(Aplerbeck) 지역에서 야만인들에게 살해되어 라인(Rhein) 강에 버려졌다. 이 야만인들은 성 에발두스 형제가 그 지방의 지도자들과 친분을 두텁게 하며 주민들을 그리스도교로 개종시킴과 동시에 야만적인 의식을 폐지하도록 종용하였기 때문에 죽였다고 한다.

그 지방의 족장은 살인자들을 사형에 처하고 이 형제를 높이 공경하였다고 전해온다. 이 형제의 시신은 동료 수도자에 의해 기적적으로 발견되었고, 후에 쾰른(Koln)의 성 쿠니베르투스(Cunibertus) 성당에 모셔졌다.

베스트팔렌의 수호성인으로 공경을 받는 이 형제는 754년 독일의 사도인 성 보니파티우스(Bonifatius, 6월 5일) 주교가 순교할 때까지 이 지역에서 순교한 마지막 선교사들이었다. 이들은 헤발두스(Hewaldus)로도 불린다.

 

(출처 : 가톨릭 굿뉴스)

 

 


 

9. 에우세비오

 

  • 가톨릭 성인 이름
    Eusebius

  • 호칭 구분
    성인

  • 신분과 직업
    순교자

  • 활동 연도와 지역
    +257년경

 

 

에우세비오 남자 세례명과 같은 이름

에우세비오스, 에우세비우스.

 

 

에우세비오 자료

옛 “로마 순교록”은 10월 3일 목록에서 거룩한 순교자 성 디오니시우스(Dionysius), 성 파우스투스(Faustus), 성 카이우스(Cajus), 성 베드로(Petrus), 성 바오로(Paulus)와 다른 네 명의 동료가 데키우스 황제와 발레리아누스 황제 치하에서 오랫동안 에밀리아누스(Aemilianus) 총독에게 고통을 받고 순교의 월계관을 얻었다고 기록하였다.

그리고 10월 4일 목록에서 이집트의 알렉산드리아(Alexandria)에서 성 카이우스, 성 파우스투스, 성 에우세비우스(또는 에우세비오), 성 카이레몬(Chaeremon), 성 루키우스(Lucius)와 동료들이 발레리아누스 황제의 박해 중에 순교한 것으로 전해주었는데, 이들은 전날 순교한 이들과 같은 동료들로 보인다.

2001년 개정 발행되어 2004년 일부 수정 및 추가한 “로마 순교록”은 이들을 모두 같은 날 기념하는 순교자들로 보았다. 그래서 10월 3일 목록에서 알렉산드리아에서 거룩한 순교자 성 파우스투스, 성 카이우스, 성 베드로, 성 바오로, 성 에우세비우스, 성 카이레몬, 성 루키우스와 다른 두 명의 동료가 데키우스 황제와 발레리아누스 황제 치하에서 에밀리아누스 총독에게 고통을 받고 순교하였다고 기록하였다.

그러면서 신앙의 증거자인 알렉산드리아의 주교 성 디오니시우스(4월 8일)도 그에 못지않게 큰 고통을 받았고, 그들 중에 성 파우스투스는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 치하에서 순교의 월계관을 받았다고 전해주었다. 하지만 다른 순교자들의 신분에 대해서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았다.

 

(출처 : 가톨릭 굿뉴스)

 

 


 

10. 제라르도

 

  • 가톨릭 성인 이름
    Gerard

  • 호칭 구분
    성인

  • 신분과 직업
    신부, 수도원장

  • 활동 연도와 지역
    880?-959년 브로뉴

 

 

제라르도 남자 세례명과 같은 이름

게라르도, 게라르두스, 제라드, 제라르두스, 제라르드.

 

 

제라르도 자료

성 게라르두스(Gerardus, 또는 제라르도)는 880년경 벨기에 나무르(Namur) 교구의 포스(Fosse) 근교인 스타브(Stave)의 귀족 집안에서 상티오(Santio)의 아들로 출생하였다. 어머니 플렉트루드(Plectrud)는 리에주(Liege)의 주교인 스테파누스(Stephanus)의 조카였다.

당시 귀족 신분의 자제들처럼 성 게라르두스 역시 기사 교육을 받았는데, 군대 안에서도 그의 경건함은 모든 이들의 눈길을 끌었다. 그는 자신의 영지인 브로뉴에 있는 한 경당을 크게 재건하고 성 에우게니우스(Eugenius)의 유해를 안치했다.

917년경 나무르 공작은 성 게라르두스에게 프랑스 사절의 임무를 맡겼다. 파리에 도착한 그는 수행원들을 파리에 머물게 하고 자신은 생드니(Saint-Denis) 수도원에서 머물렀다. 그곳에서 수도승들의 삶에 깊은 감명을 받은 그는 사절의 임무를 마친 후 나무르 공작과 스테파누스 주교의 허락을 얻어 다시 생드니 수도원으로 돌아갔다.

그곳에서 수도자가 되어 생활하였고 사제품을 받았다. 그 뒤 브로뉴로 돌아온 그는 수도원 근처의 작은 골방에 칩거하면서 엄격한 금욕생활을 하였다. 919년 그는 성 베드로와 성 에우게니우스에게 재봉헌된 브로뉴의 성당에 토지를 기증하였다.

923년 새 수도원의 아빠스가 된 그는 수도원이 자리를 잡고 평화롭게 성장하던 934년, 로렌(Lorraine)의 지슬베르(Gislebert) 공작으로부터 에노(Hainaut)에 있는 수도원을 베네딕토회의 규칙을 준수하도록 개혁해 달라는 임무를 받았다.

이러한 그의 개혁 운동은 플랑드르(Flandre) 지방에서만 일곱 개의 수도원에서 행해졌는데, 그 후 이 운동은 노르망디(Normandie) 지방으로까지 확산되었다. 그러나 그의 모든 개혁이 성공을 거둔 것은 아니었다.

953년 일선에서 물러난 그는 브로뉴로 돌아가 몽 블랑델(Mont-Blandel) 수도원의 아빠스가 되었다. 그는 로마로 교황을 방문하고 돌아오는 길에 자신이 개혁한 공동체들을 방문하였다. 그 후 브로뉴에서 머물다가 959년 10월 3일 세상을 떠났다.

그의 유해는 브로뉴에 안치되었고, 1131년 리에주의 주교인 알렉산데르(Alexander)는 교황 인노켄티우스 2세(Innocentius II)의 대리로 성인의 시신을 기리는 예식을 거행하였다. 이 예식은 사실상 시성과 동등한 효과를 지닌 것이었다. 17세기 이후 게르마누스는 성인으로 불리기 시작하였다.

 

(출처 : 가톨릭 굿뉴스)

 

 


 

11. 카이레몬

 

  • 가톨릭 성인 이름
    Chaeremon

  • 호칭 구분
    성인

  • 신분과 직업
    순교자

  • 활동 연도와 지역
    +257년경

 

 

카이레몬 남자 세례명과 같은 이름

채레몬, 체레몬, 캐레몬, 케레몬.

 

 

카이레몬 자료

옛 “로마 순교록”은 10월 3일 목록에서 거룩한 순교자 성 디오니시우스(Dionysius), 성 파우스투스(Faustus), 성 카이우스(Cajus), 성 베드로(Petrus), 성 바오로(Paulus)와 다른 네 명의 동료가 데키우스 황제와 발레리아누스 황제 치하에서 오랫동안 에밀리아누스(Aemilianus) 총독에게 고통을 받고 순교의 월계관을 얻었다고 기록하였다.

그리고 10월 4일 목록에서 이집트의 알렉산드리아(Alexandria)에서 성 카이우스, 성 파우스투스, 성 에우세비우스(Eusebius), 성 카이레몬, 성 루키우스(Lucius)와 동료들이 발레리아누스 황제의 박해 중에 순교한 것으로 전해주었는데, 이들은 전날 순교한 이들과 같은 동료들로 보인다.

2001년 개정 발행되어 2004년 일부 수정 및 추가한 “로마 순교록”은 이들을 모두 같은 날 기념하는 순교자들로 보았다. 그래서 10월 3일 목록에서 알렉산드리아에서 거룩한 순교자 성 파우스투스, 성 카이우스, 성 베드로, 성 바오로, 성 에우세비우스, 성 카이레몬, 성 루키우스와 다른 두 명의 동료가 데키우스 황제와 발레리아누스 황제 치하에서 에밀리아누스 총독에게 고통을 받고 순교하였다고 기록하였다.

그러면서 신앙의 증거자인 알렉산드리아의 주교 성 디오니시우스(4월 8일)도 그에 못지않게 큰 고통을 받았고, 그들 중에 성 파우스투스는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 치하에서 순교의 월계관을 받았다고 전해주었다. 하지만 다른 순교자들의 신분에 대해서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았다.

 

(출처 : 가톨릭 굿뉴스)

 

 


 

12. 카이오

 

  • 가톨릭 성인 이름
    Caius

  • 호칭 구분
    성인

  • 신분과 직업
    순교자

  • 활동 연도와 지역
    +257년경

 

 

카이오 남자 세례명과 같은 이름

가이오, 가이우스, 까이오, 까이우스, 카이우스.

 

 

카이오 자료

옛 “로마 순교록”은 10월 3일 목록에서 거룩한 순교자 성 디오니시우스(Dionysius), 성 파우스투스(Faustus), 성 카이우스(또는 카이오), 성 베드로(Petrus), 성 바오로(Paulus)와 다른 네 명의 동료가 데키우스 황제와 발레리아누스 황제 치하에서 오랫동안 에밀리아누스(Aemilianus) 총독에게 고통을 받고 순교의 월계관을 얻었다고 기록하였다.

그리고 10월 4일 목록에서 이집트의 알렉산드리아(Alexandria)에서 성 카이우스, 성 파우스투스, 성 에우세비우스(Eusebius), 성 카이레몬(Chaeremon), 성 루키우스(Lucius)와 동료들이 발레리아누스 황제의 박해 중에 순교한 것으로 전해주었는데, 이들은 전날 순교한 이들과 같은 동료들로 보인다.

2001년 개정 발행되어 2004년 일부 수정 및 추가한 “로마 순교록”은 이들을 모두 같은 날 기념하는 순교자들로 보았다. 그래서 10월 3일 목록에서 알렉산드리아에서 거룩한 순교자 성 파우스투스, 성 카이우스, 성 베드로, 성 바오로, 성 에우세비우스, 성 카이레몬, 성 루키우스와 다른 두 명의 동료가 데키우스 황제와 발레리아누스 황제 치하에서 에밀리아누스 총독에게 고통을 받고 순교하였다고 기록하였다.

그러면서 신앙의 증거자인 알렉산드리아의 주교 성 디오니시우스(4월 8일)도 그에 못지않게 큰 고통을 받았고, 그들 중에 성 파우스투스는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 치하에서 순교의 월계관을 받았다고 전해주었다. 하지만 다른 순교자들의 신분에 대해서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았다.

 

(출처 : 가톨릭 굿뉴스)

 

 


 

13. 칸디도

 

  • 가톨릭 성인 이름
    Candidus

  • 호칭 구분
    성인

  • 신분과 직업
    순교자

  • 활동 연도와 지역
    +연대미상

 

 

칸디도 남자 세례명과 같은 이름

간디도, 간디두스, 깐디도, 깐디두스, 칸디두스.

 

 

칸디도 자료

성 칸디두스(또는 칸디도)는 로마(Roma)의 순교자로서 순교 후 에스퀼리네(Esquiline) 언덕에 묻혔다.

 

(출처 : 가톨릭 굿뉴스)

 

 


 

14. 파우스토

 

  • 가톨릭 성인 이름
    Faustus

  • 호칭 구분
    성인

  • 신분과 직업
    순교자

  • 활동 연도와 지역
    +3세기

 

 

파우스토 남자 세례명과 같은 이름

파우스또, 파우스뚜스, 파우스투스.

 

 

파우스토 자료

옛 “로마 순교록”은 10월 3일 목록에서 거룩한 순교자 성 디오니시우스(Dionysius), 성 파우스투스(또는 파우스토), 성 카이우스(Cajus), 성 베드로(Petrus), 성 바오로(Paulus)와 다른 네 명의 동료가 데키우스 황제와 발레리아누스 황제 치하에서 오랫동안 에밀리아누스(Aemilianus) 총독에게 고통을 받고 순교의 월계관을 얻었다고 기록하였다.

그리고 10월 4일 목록에서 이집트의 알렉산드리아(Alexandria)에서 성 카이우스, 성 파우스투스, 성 에우세비우스(Eusebius), 성 카이레몬(Chaeremon), 성 루키우스(Lucius)와 동료들이 발레리아누스 황제의 박해 중에 순교한 것으로 전해주었는데, 이들은 전날 순교한 이들과 같은 동료들로 보인다.

2001년 개정 발행되어 2004년 일부 수정 및 추가한 “로마 순교록”은 이들을 모두 같은 날 기념하는 순교자들로 보았다. 그래서 10월 3일 목록에서 알렉산드리아에서 거룩한 순교자 성 파우스투스, 성 카이우스, 성 베드로, 성 바오로, 성 에우세비우스, 성 카이레몬, 성 루키우스와 다른 두 명의 동료가 데키우스 황제와 발레리아누스 황제 치하에서 에밀리아누스 총독에게 고통을 받고 순교하였다고 기록하였다.

그러면서 신앙의 증거자인 알렉산드리아의 주교 성 디오니시우스(4월 8일)도 그에 못지않게 큰 고통을 받았고, 그들 중에 성 파우스투스는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 치하에서 순교의 월계관을 받았다고 전해주었다. 하지만 다른 순교자들의 신분에 대해서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았다.

 

(출처 : 가톨릭 굿뉴스)

 

 


 

15. 프로일라노

 

  • 가톨릭 성인 이름
    Froilan

  • 호칭 구분
    성인

  • 신분과 직업
    주교

  • 활동 연도와 지역
    +10세기경 레온

 

 

프로일라노 남자 세례명과 같은 이름

프로일라누스, 프로일란.

 

 

프로일라노 자료

성 프로일라누스(Froilanus, 또는 프로일라노)와 아틸라누스(Attilanus) 주교는 무어인들의 에스파냐 침략 초기에 살았던 성인들로 로마 순교록에 기록이 남아 있다.

성 프로일라누스는 에스파냐 북서부 갈리시아(Galicia)의 루고(Lugo) 출신으로 18세 때부터 황야의 은수자로 살았는데, 그분의 제자 가운데 아틸라누스가 있었다. 그 당시 그는 15세에 불과하였다.

이 두 성인은 옛 카스티야(Castilla) 지방의 모레루엘라에서 은수자 공동체를 이끌어 오던 중 함께 주교로 승품되어 각각 임지로 떠났다. 성 프로일라누스는 에스파냐 은수생활의 재건자로서 공경을 받고 있다.

 

(출처 : 가톨릭 굿뉴스)

 

 


 

16. 헤시키오

 

  • 가톨릭 성인 이름
    Hesychius

  • 호칭 구분
    성인

  • 신분과 직업
    은수자

  • 활동 연도와 지역
    +4세기경

 

 

헤시키오 남자 세례명과 같은 이름

헤시치오, 헤시치우스, 헤시키우스, 헤지치오, 헤지치우스, 헤지키오, 헤지키우스.

 

 

헤시키오 자료

성 헤시키우스(또는 헤시키오)는 팔레스티나(Palestina)의 성 힐라리온(Hilarion, 10월 21일)의 제자로서 스승을 수행하여 팔레스티나를 떠나 이집트로 갔던 은수자이다. 그는 기적을 행하고 예언하는 은수자로 유명하였다.

 

(출처 : 가톨릭 굿뉴스)

 

 


 

그 외 세례명 날짜로 찾기

 

날짜순 천주교 세례명

어떤 세례명이 좋을까?

pieonane.com

 


 

그 외 세례명 이름으로 찾기

 

이름순 가톨릭 세례명

본받고 싶은 가톨릭 성인 찾기

pieonane.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