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주교 세례명/세례명 날짜 찾기

10월 9일 여자세례명 3가지

피어나네 2023. 10. 15. 09:01
반응형

 

10월 9일에 해당하는 여자세례명 사라, 아타나시아, 푸블리아, 총 3분 목록이에요.

 

10월 9일이 영명축일인 여자세례명은 어떤 이름이 좋을까요? 아래 세례명 목록을 클릭하면 해당하는 천주교 세례명 상세정보로 이동합니다. 어울리는 세례명을 지금 바로 찾아보세요.

 

10월 9일 남자세례명 군터, 데메트리오, 데우스데디트, 돔니노, 디오니시오, 루도비코 베르트란도, 루스티코, 사비노, 아브라함, 안드로니코, 엑토르 발디비엘소 사에스, 엘레우테리오, 요한 레오나르디, 요한 헨리 뉴먼, 인노첸시오 드 라 임마쿨라다, 지슬레노, 치릴로 베르트란, 총 17분 목록은 여기에 있어요.

 

 

 

 

세례명 어떤 이름이 좋을까?

10월 9일
천주교 여자세례명
3가지

 

 

 

 

10월 9일 여자세례명 목록

 

  1. 사라

  2. 아타나시아

  3. 푸블리아

 

10월 9일 천주교 여자세례명 3가지

 

 

1. 사라

 

  • 가톨릭 성인 이름
    Sara

  • 호칭 구분
    성녀

  • 신분과 직업
    구약인물

  • 활동 연도와 지역
    +연대미상

 

 

사라 여자 세례명과 같은 이름

사라이.

 

 

사라 자료

성조 아브라함(Abraham)은 하느님께 대한 특별한 믿음을 가졌던 사람으로서 유다인, 그리스도인, 무슬림 모두에게 믿음의 모범 또는 믿음의 조상으로 평가받는 인물이다. 셈의 후손이며 테라의 아들이고 사라이(Sharai)의 남편이며, 이사악의 아버지로서 히브리 민족의 선조이다. 그리고 아들인 이스마엘을 통해 퍼지게 된 다른 셈족의 선조이기도 하다(창세 17,5; 25,12-18). 그의 삶에 관해서는 주로 창세기(11,26-25,10)에 소개되어 있고, 사도행전 7장 2-8절에 요약되어 있다.

구약성경은 그의 이름을 ‘아브람’과 ‘아브라함’이라는 두 가지 형태로 언급하고 있다. 즉 창세기 11,26-17,4에서는 ‘아브람’으로, 그리고 창세기 17,5과 1역대기 1,27과 느헤미야 9,7에서는 ‘아브람’에서 ‘아브라함’으로 바뀌었다며 함께 나오고, 나머지는 모두 ‘아브라함’으로 표기하고 있다. 

‘아브람’은 ‘아브’(아버지)와 ‘룸’(높다, 존귀하다)에서 파생된 ‘람’의 합성어로, ‘존귀하신 아버지’라고 번역할 수도 있지만 ‘(나의) 아버지는 존귀하시다’라고 번역하는 것이 더 옳다. 그렇지만 아브라함의 어원론적 해석은 불투명하다. 하느님은 아브라함과 언약을 맺으면서 그의 이름을 ‘아브람’에서 ‘아브라함’으로 바꾸어 주었다(창세 17,4-5). 

여기에서 하느님은 약속 성취의 징표로 ‘많은 민족들의 아버지’라는 의미를 부여하신다. ‘아브’는 아버지를 의미하며 ‘라함’은 많은 민족을 의미하는데, 이 이름에 대한 성경의 해석은 유음 현상에 의해 만들어진 대중적인 해석에 근거한 것으로 보아야 한다.

칼데아의 우르에서 태어난 아브라함은 아버지 테라와 동생인 나호르와 하란, 아내인 사라이 조카 롯과 함께 하란으로 이주하였다(창세 11,26-32). 아버지 테라가 죽은 후 하느님의 부르심을 받은 아브라함은 하란을 떠나 가나안 지역으로 이주했는데, 그때 그의 나이가 75세였다(12,1-5). 

그가 스켐에 이르렀을 때 그곳에는 가나안족이 살고 있었고, 약속의 땅의 중심인 그곳에서 주 하느님께서 아브라함에게 나타나 그 땅을 아브라함의 후손에게 주겠다고 약속하였다(12,6-7). 그러자 그는 제단을 쌓아 주 하느님께 바친 뒤 그곳을 떠나 베텔 동쪽의 산악 지방으로 가서, 서쪽으로는 베텔이 보이고 동쪽으로는 아이가 보이는 곳에 천막을 쳤다. 

아브라함은 여기에서도 제단을 쌓고 주님의 이름을 받들어 예배하였다. 그리고는 네겝 쪽으로 옮겨갔다(12,8-9). 그 후 흉년이 들어 기근이 심해지자 이를 피해 이집트로 갔고(12,10), 다시 이집트를 떠나 네겝을 지나 베텔 쪽으로 와서(13,3) 롯을 분가시킨 다음 헤브론에 있는 마므레의 참나무들이 있는 곳에 자리 잡고 살며 주님을 위해 제단을 쌓았다(13,1-18), 그 후에는 브에르 세바에 정착하였다(22,19).

아브라함에게서 분가한 조카 롯이 소돔 근처에 살고 있을 때, 소돔 지역의 왕들과 북쪽 지역의 왕들 사이에 전쟁이 일어났다. 이때 롯이 북쪽 왕들에게 끌려가게 되었다. 그러자 아브라함은 롯을 구하기 위하여 북쪽 왕들과 전쟁을 벌여 조카와 그의 재물과 잡혀간 사람 모두를 구해냈는데, 여기서 그는 이미 공인된 지도자로서 행동하였다(창세 14,1-16). 그리고 이집트와 그라르와 브에르 세바에서도 한 집단의 존경받는 지도자로 나타날 뿐만 아니라 그들과 대등한 관계에 있었다. 

아브라함은 가축과 은과 금이 많은 부자였고(13,2), 훈련받은 부하들도 많았다(14,14). 또 가나안족과 프리즈족과 함께 어울려 살았으며(12,6; 13,7), 오랫동안 필리스티아인들의 땅에서도 나그네살이하였다(21,34). 아내 사라가 죽었을 때 히타이트 사람들과 거래를 해 막펠라의 동굴에 아내를 안장하였다(23장). 

우르와 하란을 떠나기 전에 도시를 배경으로 살았던 아브라함은 하란에 사는 친척들이 천막생활을 한 것과는 달리 유랑하는 반유목민적 삶을 살았다(12,8-9; 13,18; 18,1). 그러나 그는 헤브론에 있는 마므레, 브에르 세바, 히타이트 사람들의 지역에서도 상당히 오랫동안 머물렀으며(13,18; 18,1; 22,19; 23,3-4), 그곳 정착민들과도 좋은 관계를 유지하였다(23,10-18). 이 지역 왕들과도 동등한 관계를 유지하였을 만큼 그는 상당한 세력을 가진 외국인 거류민이었던 것 같다(15,13; 23,4).

창세기 15장에는 아브라함이 가졌던 특별한 체험에 관해 언급되어 있다. 우선 하느님께서는 아브라함의 후손이 하늘의 별들만큼 큰 민족이 되리라고 약속하셨는데(12,1-5), 이 약속은 이미 13장 16절에서도 확인된다(“내가 너의 후손을 땅의 먼지처럼 많게 할 것이니, 땅의 먼지를 셀 수 있는 자라야 네 후손도 셀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이 약속의 실현을 위한 첫 번째 과제는 그가 아들을 얻는 것이었다. 

아직 그에게는 대를 이을 아들이 없었고, 그의 마음속에는 이것이 해결되지 않은 의문이었다. 그러던 중 환시 중에 주님의 말씀이 내렸고(15,1), 이때 주 하느님께서 아브라함에게 많은 자손을 주실 것을 약속하셨다(15,4-5). 아브라함은 이 말씀을 믿었고, 이로써 “주님께서 그 믿음을 의로움으로 인정해 주셨다.”(15,6) 그리고 하느님은 그와 계약을 맺으셨다(15,7-21). 

“나는 이집트 강에서 큰 강 곧 유프라테스 강까지 이르는 이 땅을 너의 후손에게 준다.”(15,18)라는 말씀을 들었다. 하느님께서는 반으로 자른 희생제물을 통해 계약을 보증해 주셨다. 그러나 여기에는 한 가지 조건이 있는데, 아브라함의 후손이 400년 동안 남의 나라에서 나그네살이하며 종살이를 하게 된다는 것이다(15,13). 

이는 하느님의 약속을 믿고 이것이 성취될 때까지 인내하며 기다리라는 것이다. 이런 과정속에서 아브라함은 초월적인 신앙 체험을 하게 되는데, 이것은 깊은 감정적 움직임이 동반된 것이었다. 이 순간 그는 분명히 하느님의 약속을 완전히 믿었고, 이러한 믿음으로 아브라함은 의롭다고 인정받게 되었다. 그렇지만 그의 이러한 믿음도 훗날 흔들리기도 했다.

그의 아내 사라이는 아직 아이가 없었으므로 당시 관습대로 남편에게 자기의 이집트인 여종인 하가르를 내어주어 아이를 갖게 했다. 그래서 아브라함과 하가르 사이에서 이스마엘이 태어났는데, 그때 그의 나이는 86세였다(16,1-16). 이러한 상황 속에서 하느님께서 다시 나타나셔서 아브라함과 계약을 하셨는데, 이때 그의 나이는 99세였다(창세 17,1).

이때 하느님께서 다시 아브라함에게 가나안 땅을 줄 것이며 후손을 번창하게 해줄 것을 약속하고(17,1-8), 이 새 계약의 표징으로 모든 남자의 할례를 지시하셨다(17,9-14). 이 계약과 함께 부인의 이름도 사라이에서 사라로 바뀌었다(17,15). 이는 고대인들의 사고에 따르면 그의 운명이 바뀌는 것으로, 결국 사라가 하느님의 역사(役事)에서 다른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는 의미이다.

하느님의 약속은 사라의 의심에도 불구하고 다시 확인되었다(18,1-19). 아브라함의 나이 100세에 이사악이 태어났고, 이로써 약속 실현의 결정적인 조건이 갖추어졌다(21,1-7). 그러나 이사악을 통해 아브라함의 신앙이 시험대 위에 놓이게 되었다(22,1-14). 모리야 땅의 산에서 이사악을 하느님께 제물로 바치라는 지시 때문이었다. 

하지만 그는 하느님의 명령에 순종함으로써 하느님께 대한 절대적인 믿음을 보여주었다. 그는 아내 사라가 127년을 살고 죽자 마므레 맞은쪽 막펠라에 있는 동굴에 안장(23,19)한 후 자신의 죽음도 가까이 왔음을 알고 집안의 모든 재산을 맡아보는 종에게 하란 지역에 사는 자신의 친척 중에서 이사악의 아내를 구해 주도록 했다. 

그렇게 해서 그는 이사악의 아내로 브투엘의 딸 레베카를 맞이하였다(24장). 아브라함이 늦은 나이에 크투라를 아내로 맞아들여 얻은 자식들은 드단과 미디안 부족의 조상이 되었다(25,1-6). 아브라함은 장수를 누리다 175세에 죽어 막펠라 동굴에 안장되었다(25,7-11).

신약성경에서도 이스라엘 백성들은 아브라함의 후손으로 언급되고 있다(사도 13,26). 아브라함은 사제직을 맡은 레위 지파의 선조로 언급되며(히브 7,5), 메시아인 예수 그리스도의 선조라고 선포된다(마태 1,1). 그러나 신약에서는 아브라함의 혈통과 관련하여 새로운 이해가 선포되었다.

세례자 요한과 사도 바오로는 아브라함의 혈통을 이어받았다는 사실 자체가 하느님의 복을 받는 조건이라는 당시 이스라엘 백성들의 대중적 믿음을 부인하였다(마태 3,9; 로마 9,7). 이제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모든 신자가 새로 선택된 겨레, 임금의 사제단, 거룩한 민족, 하느님의 소유가 된 백성, 곧 새로운 이스라엘, 새로운 아브라함의 후손이 된 것이다(1베드 2,9-10). 그리고 아브라함에게 하신 계약의 맹세(루카 1,73)와 약속하신 축복(갈라 3,14)이 그리스도인들에게 주어진 것이다.

 

(출처 : 가톨릭 굿뉴스)

 

 


 

2. 아타나시아

 

  • 가톨릭 성인 이름
    Athanasia

  • 호칭 구분
    성녀

  • 신분과 직업
    은수자

  • 활동 연도와 지역
    +5세기경

 

 

아타나시아 여자 세례명과 같은 이름

아따나시아.

 

 

아타나시아 자료

성 안드로니쿠스(Andronicus)는 알렉산드리아 사람으로 은세공 일을 하면서 안티오키아(Antiochia)에서 살았다. 그는 성녀 아타나시아(Athanasia)란 예쁜 처녀와 결혼하여 두 자녀를 두었으며, 사업도 날로 번창하고 있었다. 그러던 어느 날 갑자기 두 아이가 같은 날에 죽게 되면서 불행이 닥쳤다.

성녀 아타나시아는 슬픔을 이기지 못하였으나, 두 아이가 천상에 있다는 말을 어느 방문객으로부터 전해 들으면서부터 세상을 등지기 시작하였다. 성 안드로니쿠스도 아내의 의견에 동의하여 이 부부는 집을 떠났다. 그들은 이집트로 가서 그 당시에도 유명하던 성 다니엘(Daniel) 은수자를 찾아 나섰다.

이리하여 성 다니엘은 성 안드로니쿠스는 타벤니시(Tabennisi) 공동체로 보냈고, 성녀 아타나시아는 광야의 회수도자들에게 보냈다. 이들은 12년 동안 수도생활을 계속하였다. 후일 수도자들은 이들 부부 수도자의 유해를 합장하고 큰 성인 성녀로 공경하였다.

 

(출처 : 가톨릭 굿뉴스)

 

 


 

3. 푸블리아

 

  • 가톨릭 성인 이름
    Publia

  • 호칭 구분
    성녀

  • 신분과 직업
    과부, 수녀원장, 증거자

  • 활동 연도와 지역
    +4세기

 

 

푸블리아 여자 세례명과 같은 이름

뿌블리아.

 

 

푸블리아 자료

안티오키아(Antiochia)에서 태어난 성녀 푸블리아는 훗날 안티오키아의 주교가 된 외동아들 요한(Joannes)의 어머니이다. 그녀는 사별한 후 지역의 여성 신자들과 함께 모여 수도생활을 하였다. 362년 배교자 율리아누스 황제가 근처를 지나가다가 공동체가 기도 중에 시편을 노래하는 것을 듣게 되었다.

이를 자신에 대한 모욕으로 받아들인 황제는 부하들을 시켜 그녀를 구타하였고, 후에 전체 공동체를 황제의 명령을 거역한 죄로 벌하려 했으나 페르시아와의 전투에서 전사하였다. 그래서 성녀 푸블리아와 그녀의 공동체는 평화롭게 생활하며 하느님께 예배를 드릴 수 있었다.

 

(출처 : 가톨릭 굿뉴스)

 

 


 

그 외 세례명 날짜로 찾기

 

날짜순 천주교 세례명

어떤 세례명이 좋을까?

pieonane.com

 


 

그 외 세례명 이름으로 찾기

 

이름순 가톨릭 세례명

본받고 싶은 가톨릭 성인 찾기

pieonane.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