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주교 세례명/세례명 이름 찾기

막시미노 남자세례명 3인 목록

피어나네 2025. 5. 6. 15:00
반응형

 

남자세례명 막시미노는 막시맹, 막시미누스, 맥시민 같은 이름으로 불립니다. 천주교 남자세례명 막시미노 3분 자료를 한눈에 볼 수 있게 모았어요. 축일로 구분한 아래 세례명 목록을 클릭하면 해당하는 막시미노 가톨릭 성인의 스토리로 이동합니다. 본받고 싶은 막시미노를 찾아 가톨릭 성인의 믿음과 가치를 발견해 보세요.

 

 

 

 

본받고 싶은 남자 세례명 찾기

막시미노
천주교 남자세례명
3인 목록

 

 

 

 

막시미노 남자세례명 목록

 

  1. 막시미노 (5월 29일)

  2. 막시미노 (6월 8일)

  3. 막시미노 (12월 15일)

 

막시미노 천주교 남자세례명 3인 목록

 

 

1. 막시미노

 

  • 세례명 축일
    5월 29일

  • 호칭 구분
    성인

  • 가톨릭 성인 이름
    Maximinus

  • 신분과 직업
    주교

  • 활동 연도와 지역
    +346년경 트리어(Trier)

 

 

막시미노 세례명과 같은 이름

막시맹, 막시미누스, 맥시민.

 

 

막시미노 이야기

성 막시미누스(또는 막시미노)는 280년경 프랑스의 푸아티에(Poitiers) 지방에서 태어났다. 그는 젊은 시절 고향을 떠나서 독일 남서부에 있는 트리어로 갔는데, 그 이유는 성 아그리시오(Agritius, 1월 13일) 주교의 명성에 이끌렸기 때문이라고 한다.

그는 트리어에서 교육을 받고 사제품을 받았다. 그리고 330년경 스승인 성 아그리시오 주교가 선종한 후 그 뒤를 이어 트리어의 주교로 승품되었다. 그가 주교로 재임하던 시절에, 이미 325년 니케아(Nicaea) 공의회에서 이단으로 단죄받은 아리우스주의(Arianismus)가 여전히 권력을 등에 업고 활개 치고 있었다.

아리우스주의에 대항하여 정통 신앙을 용감히 옹호하던 그는 335년 아리우스 이단에 반대하다가 그 지방으로 유배 온 알렉산드리아(Alexandria)의 성 아타나시오(Athanasius, 5월 2일) 주교를 환대하고 그가 그곳에서 하느님을 섬길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도와주었다. 성 아타나시오는 성 막시미노 주교의 성덕과 용덕 그리고 근면함을 보고 크게 감탄했다고 한다.

성 막시미노 주교는 쾰른(Koln) 교회 회의를 소집하여 쾰른의 에우프라테스(Euphratas) 주교를 이단으로 단죄하고, 아리우스주의를 옹호하던 콘스탄티우스 2세 황제(337~340년 재위)에게 경고하기도 하였다. 그리고 콘스탄티우스 2세 황제가 사망한 후 서로마 제국 전체를 다스리게 된 콘스탄스 1세 황제(337~350년 재위)가 정통 그리스도교를 지켜가도록 도왔다.

그는 분열이 아닌 일치를 이루기 위해 콘스탄티노플(Constantinople)을 여행하고 돌아오는 길에 고향인 푸아티에에 들렀다. 그곳에서 잠시 머물던 중 346년경 갑자기 선종하였다. 그를 계승하여 트리어의 주교가 된 성 바울리노(Paulinus, 8월 31일)는 코베른(Kobern)의 성 루벤시오(Lubentius, 10월 13일) 신부를 보내 그의 유해를 트리어로 모셔오도록 했다.

그의 시신은 353년 5월 29일 트리어 북문 밖 성 요한 성당 묘지에 묻혔다. 7세기에 그곳에 성 베네딕토회 수도원이 세워졌고, 나중에 그의 이름을 딴 황실 수도원으로 발전하였다. 제2차 세계대전 중 폭격으로 대부분 파괴된 이 수도원은 서유럽에서 가장 오래된 수도원 중 하나였다.

교회 미술에서 성 막시미노는 주교 복장을 하고 책과 성당 모형을 들고 있는 모습으로 주로 묘사된다. 그리고 프라이징(Freising)의 성 코르비니아노(Corbinianus, 9월 8일) 주교처럼 안장을 올린 곰과 함께 등장하기도 하는데, 이는 성 코르비니아노의 일화처럼 당나귀를 타고 로마(Roma)로 가던 중 곰의 공격을 받아 당나귀가 죽자 곰에게 안장은 얹어 여행 짐을 지게 했다는 전설에서 나온 것이다.

옛 “로마 순교록”과 2001년 개정 발행되어 2004년 일부 수정 및 추가한 “로마 순교록”은 모두 5월 29일 목록에서 트리어의 주교인 성 막시미노가 아리우스 이단에 맞서 정통 신앙을 용감히 옹호했고, 이단 세력에 의해 자기 교구에서 쫓겨나 유배를 온 알렉산드리아의 성 아타나시오와 다른 주교들을 형제적 사랑으로 환대했다고 기록하였다.

 

(출처 : 가톨릭 굿뉴스)

 

 


 

2. 막시미노

 

  • 세례명 축일
    6월 8일

  • 호칭 구분
    성인

  • 가톨릭 성인 이름
    Maximinus

  • 신분과 직업
    예수의 제자, 주교

  • 활동 연도와 지역
    +1세기경 엑스(Aix)

 

 

막시미노 세례명과 같은 이름

막시망, 막시맹, 막시미누스, 막씨미노, 막씨미누스.

 

 

막시미노 이야기

교회 전승, 특별히 프랑스 교회의 전승에 따르면, 성 막시미누스(또는 막시미노)는 7월 29일에 기념하는 베타니아의 성 라자로(Lazarus)와 성녀 마르타(Martha)와 성녀 마리아(Maria) 3남매 집안의 청지기로 예수님의 72명의 제자 중 한 사람으로 알려져 있다.

그는 세 명의 거룩한 마리아, 곧 클로파스(Clopas)의 아내 마리아(Maria, 4월 24일)와 예전에 마리아 살로메(Maria Salome)로도 불렸던 살로메(4월 24일)와 마리아 막달레나(Maria Magdalena, 7월 22일)와 베타니아의 성녀 마르타와 성 라자로와 더불어 프랑스 남서부 프로방스(Provence) 지방으로 가서 복음을 전했다고 한다.

이러한 전승은 베타니아의 마리아와 성녀 마리아 막달레나를 같은 사람으로 보았던 잘못된 오랜 전통을 바탕에 깔고 있다. 성 막시미노는 엑스에 선교 본부를 두고 그 지방의 초대 주교로서 활동했다.

그는 알프스 산의 한 동굴에서 30년 동안 은수자로 살다가 선종할 때를 예감하고 평지로 내려온 성녀 마리아 막달레나가 마지막으로 성체를 모시도록 해주었고, 그녀의 시신을 라 생트 보메(la-Sainte-Baume)에 안장하였다.

오늘날 그곳은 그의 이름을 포함해서 생 막시망 라 생트 보메(Saint-Maximin-la-Sainte-Baume)로 불리는 도시가 되었고, 성녀 마리아 막달레나와 성 막시미노의 유해를 모신 성녀 마리아 막달레나 대성당이 봉헌되었다.

또 다른 전승에 따르면, 그는 요한 복음 9장 1-38절에 나오는 태중 소경으로 주님으로부터 치유를 받은 사람과 동일 인물이라고 한다.

그러나 옛 “로마 순교록”은 성 막시미노를 프랑스 엑스 지방의 초대 주교이자 예수님의 제자로 소개했고, 2001년 개정 발행되어 2004년 일부 수정 및 추가한 “로마 순교록”은 성 막시미노가 프랑스의 엑상프로방스(Aix-en-Provence) 지방에 처음으로 그리스도교를 전한 인물이라고 간단히 기록하였다.

 

(출처 : 가톨릭 굿뉴스)

 

 


 

3. 막시미노

 

  • 세례명 축일
    12월 15일

  • 호칭 구분
    성인

  • 가톨릭 성인 이름
    Maximinus

  • 신분과 직업
    수도원장

  • 활동 연도와 지역
    +520년

 

 

막시미노 세례명과 같은 이름

막시미누스, 메스맹, 메쓰맹.

 

 

막시미노 이야기

성 막시미누스(또는 막시미노)는 프랑스 오를레앙(Orleans) 부근에 국왕 클로비스 1세가 설립한 미시(Micy) 수도원의 초대원장이었다. 그는 메스맹(Mesmin)으로도 불린다.

 

(출처 : 가톨릭 굿뉴스)

 

 


 

그 외 세례명 이름으로 찾기

 

이름순 가톨릭 세례명

본받고 싶은 가톨릭 성인 찾기

pieonane.com

 


 

그 외 세례명 날짜로 찾기

 

날짜순 천주교 세례명

어떤 세례명이 좋을까?

pieonane.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