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주교 세례명/세례명 날짜 찾기

7월 26일 남자세례명 7가지

피어나네 2023. 9. 4. 10:00
반응형

 

7월 26일에 해당하는 남자세례명 발렌스, 시메온, 에라스토, 요아킴, 윌리엄 워드, 파스토르, 히야친토, 총 7분 목록이에요.

 

7월 26일이 영명축일인 남자세례명은 어떤 이름이 좋을까요? 아래 세례명 목록을 클릭하면 해당하는 천주교 세례명 상세정보로 이동합니다. 어울리는 세례명을 지금 바로 찾아보세요.

 

7월 26일 여자세례명 바르톨로메아 카피타니오, 안나, 총 2분 목록은 여기에 있어요.

 

 

 

 

세례명 어떤 이름이 좋을까?

7월 26일
천주교 남자세례명
7가지

 

 

 

 

7월 26일 남자세례명 목록

 

  1. 발렌스

  2. 시메온

  3. 에라스토

  4. 요아킴

  5. 윌리엄 워드

  6. 파스토르

  7. 히야친토

 

7월 26일 천주교 남자세례명 7가지

 

 

1. 발렌스

 

  • 가톨릭 성인 이름
    Valens

  • 호칭 구분
    성인

  • 신분과 직업
    주교

  • 활동 연도와 지역
    +531년 베로나

 

 

발렌스 남자 세례명과 같은 이름

없음.

 

 

발렌스 자료

성 발렌스는 524년부터 이탈리아 베로나의 주교로 활동하였다. 그는 이방인과 이교도들의 시대에 그들과 용감히 맞섰다.

 

(출처 : 가톨릭 굿뉴스)

 

 


 

2. 시메온

 

  • 가톨릭 성인 이름
    Simeon

  • 호칭 구분
    성인

  • 신분과 직업
    수도승, 은수자

  • 활동 연도와 지역
    +1016년 파돌리로네

 

 

시메온 남자 세례명과 같은 이름

시므온.

 

 

시메온 자료

아르메니아(Armenia) 출신 은수자인 성 시메온은 982년경에 예루살렘을 거쳐 로마(Roma)를 순례하였다. 여기서 그는 이단자로 몰렸으나 교황 베네딕투스 7세(Benedictus VII)의 명에 따라 심문한 결과 정통파로 선언되었다.

한동안 그는 이탈리아를 순례하다가 에스파냐의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Santiago de Compostela)와 프랑스 투르(Tours)의 성 마르티누스(Martinus) 경당을 찾은 뒤에 롬바르디아(Lombardia)로 돌아왔다.

이때 그는 이미 기적과 애덕에 대한 명성이 높았다. 특히 그는 야생 사자를 쉽게 길들임으로써 만투아(Mantua) 주민들을 놀라게 하였다. 그는 파도바(Padova) 인근의 파돌리로네에 있는 클뤼니 수도원에 정착하여 여생을 보냈다.

 

(출처 : 가톨릭 굿뉴스)

 

 


 

3. 에라스토

 

  • 가톨릭 성인 이름
    Erastus

  • 호칭 구분
    성인

  • 신분과 직업
    바오로의 제자, 주교

  • 활동 연도와 지역
    +1세기 필리피

 

 

에라스토 남자 세례명과 같은 이름

에라스도, 에라스또, 에라스또스, 에라스뚜스, 에라스토스, 에라스투스.

 

 

에라스토 자료

성 에라스투스(또는 에라스토, 에라스토스)는 사도 바오로(Paulus)의 협조자 중의 한 사람으로, 성 바오로에 의해 에페수스(Ephesus)에서 마케도니아로 파견된 사람이다(사도 19,22).

사도 바오로는 로마서에서 다시 코린토스(Corinthos) 시(市)의 재정관이던 에라스토스를 언급했는데(로마 16,23), 그는 아마도 티모테오 2서 4장 20절에서 언급하는 에라스토스와 동일 인물인 듯하다.

그는 마케도니아 지방 필리피의 주교가 되었고 순교했다고 전해진다. 그런데 사도행전의 에라스토스와 로마서와 티모테오 2서에 언급된 에라스토스가 다른 사람일 수도 있다고 한다.

 

(출처 : 가톨릭 굿뉴스)

 

 


 

4. 요아킴

 

  • 가톨릭 성인 이름
    Joachim

  • 호칭 구분
    성인

  • 신분과 직업
    성모의 부친

  • 활동 연도와 지역
    +1세기

 

 

요아킴 남자 세례명과 같은 이름

요아힘, 조아킴.

 

 

요아킴 자료

성모 마리아(Maria)의 부모인 성 요아킴과 성녀 안나(Anna)에 대해서는 성경에서 일절 언급하지 않는다. 그래서 그들에 관한 이야기는 성경 이외의 전승 자료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170~180년경에 기록된 “야고보 원복음서”(Protoevangelium Jacobi)는 비록 교회에서 위경(Apocrypha)으로 간주하지만, 마리아의 부모에 대해서 귀중한 정보를 제공해 주고 있다. 

실제 이 책은 초대교회에 널리 퍼져 있었던 작품일 뿐만 아니라, 마리아의 어린 시절을 다루고 있어 마리아에 대한 공경에도 한몫하였다. 물론 교회에서 위경으로 간주한 만큼 이 책에 실린 모든 내용이 역사적으로 실제 벌어졌던 일들이라고 단언하기는 어렵다.

“야고보 원복음서”에 따르면, 성 요아킴은 부유하고 이스라엘에서 존경받는 인물이었다. 그리고 성녀 안나는 베들레헴에서 태어났다. 이들에게 흠이라고는 결혼한 지 오래되었으나 아이가 없다는 것이었다. 

이스라엘에서 자녀가 없다는 것은 하느님의 축복을 받지 못하는 상태로 여겨지기 때문에, 성 요아킴은 늘 시무룩해 있었다. 게다가 일행들과 함께 예루살렘 성전에 갔을 때 준비해 온 제물을 봉헌하려 했지만, 대사제로부터 자녀가 없다는 이유로 제단 앞에 나설 자격이 없다는 핀잔을 받고 쫓겨나기도 했었다. 

그래서 그는 자녀 문제로 단식하며 하느님께 간절히 기도할 결심으로 광야에 갔다. 그동안 집에 홀로 남겨진 성녀 안나 역시 주님 앞에서 울며 탄식의 기도를 바쳤다.

이 부부의 간절한 기도는 곧바로 응답을 받았다. 한 천사가 성녀 안나에게 나타나 그가 잉태하여 낳을 아이는 온 세상에 그 이름을 떨칠 것이라고 예고해 주었다. 이에 성녀 안나는 그 아이를 주님께 봉헌하겠다고 약속했다. 광야에서 기도하던 중 이와 비슷한 환시를 본 성 요아킴 역시 기뻐하며 집으로 돌아왔다. 

성녀 안나는 남편이 돌아온다는 전갈을 받고 성문 앞으로 마중 나가서 기쁨의 포옹을 했다. 그 후 성 요아킴과 성녀 안나는 딸을 낳았고, 성녀 안나는 아기에게 마리아라는 이름을 지어 주었다. 아이가 세 살이 되었을 때, 성 요아킴과 성녀 안나는 하느님께 약속한 대로 마리아를 예루살렘 성전으로 데려가 그곳에서 양육 받도록 맡겼다고 한다.

성모 마리아의 축일과 함께 마리아를 하느님께 봉헌한 어머니 성녀 안나와 아버지 성 요아킴의 축일도 생겨났다. 그리고 많은 교부가 “야고보 원복음서”를 즐겨 인용하면서 이러한 경향이 고조되었다. 원래 성 요아킴과 성녀 안나를 기념하는 축일은 9월 9일이었다. 

이를 기념하는 전례가 6세기 동방 교회를 거쳐 8세기 이후에 로마 교회에 도입되었고, 14세기에는 유럽 전역으로 퍼졌다. 6세기에 이미 콘스탄티노플과 예루살렘에 성녀 안나를 기념하는 성당이 건축되었고, 중세에는 유럽 곳곳에 성녀 안나에게 봉헌되는 성당들이 급속히 늘어나면서 성모 마리아의 부모에 대한 공경을 확산시켰다. 그 결과 1584년 교황 그레고리우스 13세(Gregorius XIII)가 7월 26일을 성 요아킴과 성녀 안나의 기념 축일로 지정하였다.

이처럼 성 요아킴과 성녀 안나가 일반인들에게 특별한 공경을 받는 성인으로 자리 잡게 된 것은, 성모 마리아와 성 요셉(Josephus)의 가정에서 발견할 수 없는 결혼 생활을 모범을 성 요아킴과 성녀 안나의 가정에서 발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다른 이유로 예전에는 대가족 제도가 자연스러웠기 때문에, 할아버지와 할머니가 포함되지 않는 가정의 모습이 낯설었다는 사실을 들 수 있다. 마리아의 부모까지 포함해 성가정을 이루는 것이 더 자연스러웠다.

교회 미술에서 성녀 안나는 주로 영원하고 신적인 사랑을 상징하는 초록색 망토와 빨간색 드레스를 입은 모습으로 표현되며, 책을 들고 있거나 어린 마리아를 교육하는 모습으로 묘사되곤 한다. 반면, 성 요아킴의 상징은 성전에서 행하던 그의 경건한 제사와 관련해서 어린 양, 백합, 새장 속의 비둘기 등이 있다.

 

(출처 : 가톨릭 굿뉴스)

 

 


 

5. 윌리엄 워드

 

  • 가톨릭 성인 이름
    William Ward

  • 호칭 구분
    복자

  • 신분과 직업
    신부, 순교자

  • 활동 연도와 지역
    1560?-1641년 영국

 

 

윌리엄 워드 남자 세례명과 같은 이름

굴리엘모, 빌리암, 빌헬름, 와드, 웹스터, 윌리암.

 

 

윌리엄 워드 자료

윌리엄 워드로 잘 알려진 윌리엄 웹스터(William Webster)는 1560년경 잉글랜드 북서부 웨스트모얼랜드(Westmoreland)의 손비(Thornby)에서 태어났다. 

그의 초기 생애에 대해 알려진 바는 거의 없지만, 그는 마흔이 넘은 나이에 사제직을 준비하고자 1604년 9월 프랑스 북부 두에(Douai)로 가서 영국 대학에 들어갔다. 그는 1605년 12월 16일 작은 형제회에 입회했고, 1608년 5월 31일 부제품을 받고 이어 다음날 사제품을 받았다. 

그리고 그해 10월 14일 영국 선교를 위해 잉글랜드로 출발했는데, 풍랑이 일어 스코틀랜드 해안가에 상륙했다가 체포되어 감옥에서 3년을 보냈다. 

감옥에서 풀려난 후 그는 잉글랜드로 가서 30년 동안 사목했는데, 그중에서 20년은 이곳저곳 감옥에서 생활해야 했다. 그는 열정적인 성품을 지니고 자신과 다른 이들에게 엄격했지만, 고해 성사를 듣는데 헌신함으로써 많은 이들을 참회의 길로 이끌었다.

1641년 4월 7일 영국 의회는 사형 선고를 받은 모든 가톨릭 사제들을 추방하는 법률을 선포했다. 윌리엄 워드 신부는 런던을 떠나기를 거절하고 조카 집에 머물다가 7월 15일 체포되었다. 

그는 곧 잉글랜드와 웨일스의 중앙 형사 법원인 올드 베일리(Old Bailey)에서 재판을 받고 7월 23일 유죄 판결을 받았다. 그리고 7월 26일 특별히 그가 공경했던 성녀 안나(Anna) 축일에 타이번(Tyburn)으로 끌려가 교수형과 극형을 받고 순교하였다. 

찰스 1세(Charles I) 왕의 통치 중에 순교한 그가 마지막으로 남긴 말은 “예수님, 예수님, 제 영혼을 받아주소서!”라는 애절한 기도였다. 윌리엄 워드는 1929년 12월 15일 교황 비오 11세(Pius XI)에 의해 복자품에 올랐고, 순교한 날인 7월 26일에 축일을 기념하고 있다.

그리고 2000년에 잉글랜드와 웨일스 교회의 새 전례력이 교황청에서 승인된 후에는 1970년 10월 25일 교황 성 바오로 6세(Paulus VI)에 의해 시성된 ‘잉글랜드와 웨일스의 40위 순교자’(The Forty Martyrs of England and Wales)와 종교 개혁 시대에 순교한 모든 복자 · 성인들이 ‘영국의 순교자’(The English Martyrs)라는 이름으로 5월 4일 전례 안에서 기념하게 되면서 윌리엄 워드 또한 그날 함께 축일을 기념하게 되었다.

이날은 종교 개혁 시대 영국에서 순교한 영국 성공회의 순교자와 성인들의 기념일과 같은 날이다.

 

(출처 : 가톨릭 굿뉴스)

 

 


 

6. 파스토르

 

  • 가톨릭 성인 이름
    Pastor

  • 호칭 구분
    성인

  • 신분과 직업
    신부

  • 활동 연도와 지역
    +160년 로마

 

 

파스토르 남자 세례명과 같은 이름

빠스또르, 빠스똘, 파스또르, 파스똘.

 

 

파스토르 자료

성 파스토르는 교황 성 비오 1세(Pius I, 7월 11일)의 형제로 로마의 사제였다.

 

(출처 : 가톨릭 굿뉴스)

 

 


 

7. 히야친토

 

  • 가톨릭 성인 이름
    Hyacinth

  • 호칭 구분
    성인

  • 신분과 직업
    순교자

  • 활동 연도와 지역
    +110년

 

 

히야친토 남자 세례명과 같은 이름

히야친또, 히야친뚜스, 히야친투스, 히야친트, 히야킨또, 히야킨뚜스, 히야킨토, 히야킨투스.

 

 

히야친토 자료

성 히야킨투스(Hyacinthus, 또는 히야친토)에 대해 아는 것은 그가 트라야누스 황제 때에 순교했다는 것뿐이다. 그 외의 나머지 내용들은 신빙성 없는 전기에서 나온 것이다.

 

(출처 : 가톨릭 굿뉴스)

 

 


 

그 외 세례명 날짜로 찾기

 

날짜순 천주교 세례명

어떤 세례명이 좋을까?

pieonane.com

 


 

그 외 세례명 이름으로 찾기

 

이름순 가톨릭 세례명

본받고 싶은 가톨릭 성인 찾기

pieonane.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