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22일에 해당하는 여자세례명 디냐, 살라베르가, 에메리타, 이라이스, 총 4분 목록이에요.
9월 22일이 영명축일인 여자세례명은 어떤 이름이 좋을까요? 아래 세례명 목록을 클릭하면 해당하는 천주교 세례명 상세정보로 이동합니다. 어울리는 세례명을 지금 바로 찾아보세요.
9월 22일 남자세례명 라우토, 마우리시오, 비탈리스, 빅토르, 상티노, 엑스수페리오, 엠메라모, 요나, 이냐시오, 인노첸시오, 칸디도, 토마스, 펠릭스 4[3]세, 포카, 플로렌시오, 총 15분 목록은 여기에 있어요.
세례명 어떤 이름이 좋을까?
9월 22일
천주교 여자세례명
4가지
9월 22일 여자세례명 목록
1. 디냐
- 가톨릭 성인 이름
Digna - 호칭 구분
성녀 - 신분과 직업
동정 순교자 - 활동 연도와 지역
+259년경 로마
디냐 여자 세례명과 같은 이름
디그나.
디냐 자료
옛 “로마 순교록”은 9월 22일 목록에서 로마의 거룩한 동정녀인 성녀 디냐와 성녀 에메리타(Emerita)가 발레리아누스(253~260년 재위)와 갈리에누스(253~268년 재위) 황제의 그리스도교 박해 때 체포되어 순교했고, 그들의 유물이 로마의 성 마르첼루스(San Marcello al Corso) 성당에 보관되어 있다고 했다.
2001년 개정 발행되어 2004년 일부 수정 및 추가한 “로마 순교록”은 같은 날 목록에서 로마의 오스티엔세 가도(Via Ostiense)에 있는 코모딜라(Commodilla) 카타콤바에 있는 성녀 에메리타를 기념한다고 기록하였다. 하지만 성녀 디냐에 대해 더는 언급하지 않았다.
(출처 : 가톨릭 굿뉴스)
2. 살라베르가
- 가톨릭 성인 이름
Salaberga - 호칭 구분
성녀 - 신분과 직업
수녀원장 - 활동 연도와 지역
+664년경 랑
살라베르가 여자 세례명과 같은 이름
사달베르가.
살라베르가 자료
사달베르가(Sadalberga)로도 불리는 성녀 살라베르가는 605년경 알자스(Alsace)의 공작인 군도인(Gundoin)의 딸로 오늘날의 프랑스 북동부 툴(Toul)에서 태어난 듯하다.
보비오(Bobbio) 수도원의 요나스(Jonas)라는 수도자가 쓴 “성 콜룸바누스의 생애”(Vita sancti Columbani)에서 부분적으로 전해지는 내용에 따르면, 성녀 살라베르가의 아버지는 나중에 뤽세이유(Luxeuil) 수도원의 원장이 된 성 발데베르투스(Waldebertus, 5월 2일)와 가까운 사이로, 성 발데베르투스는 나중에 성녀 살라베르가를 수도 생활로 인도하는 역할을 했다.
그녀는 태어나면서부터 앞을 보지 못해 외부에 드러나지 않게 집안에서 조심스럽게 생활해야 했다. 그녀가 소녀가 되었을 때 바이에른(Bayern) 지방에서 선교활동을 마치고 뤽세이유 수도원으로 돌아가던 성 에우스타시우스(Eustasius, 4월 2일)가 군도인 공작의 환대로 그의 집에서 쉬어 가게 되었다.
성 에우스타시우스는 군도인 공작 부부의 요청을 받고 앞을 못 보던 성녀 살라베르가의 눈에 성유를 바르고 기도하여 기적적으로 그녀의 시력을 치유하였다.
성녀 살라베르가는 놀라운 기적을 체험한 후 세속의 삶을 포기하고 수도 생활에 헌신하려 했으나 부모의 반대에 부딪혔다. 결국 부모의 뜻에 따라 628년경 리치람누스(Richramnus)라는 프랑크 귀족과 결혼했으나 두 달 만에 남편이 세상을 떠나고 말았다.
그녀는 이를 하느님의 뜻으로 여기고 부모의 동의 없이 수도원으로 들어갔다. 그러나 불과 2년 뒤에 프랑크 왕국의 다고베르 1세(Dagobert I) 왕의 명령과 부모의 요청에 따라 수도 생활을 포기하고 왕의 고문 중 한 명인 블란디누스(Blandinus)와 재혼해야 했다.
그녀는 결혼 생활 중에 다섯 명의 자녀를 두었는데, 그 중 발도비누스(Baldovinus)와 안스트루다(Anstrudis)는 일부 지역과 베네딕토회에서 성인으로 10월 16/17일에 기념한다고 한다. 하지만 “로마 순교록”에 그들의 이름이 올라가지는 않았다.
평소 신심 깊은 부부로 행복한 부부생활을 영위하던 성녀 살라베르가와 블란디누스는 660년 이전에 세속의 삶을 떠나 각자 수도 생활에 들어가기 위해 헤어지기로 했다.
블란디누스는 자신의 영지에 있는 숲으로 들어가 은수자가 되었고, 성녀 살라베르가는 자신의 딸인 안스트루다와 함께 랑그르(Langres) 근처의 수녀원에 들어가 생활하다가 보다 안전한 곳으로 수녀원을 옮겨야 할 상황이 되자 뤽세이유의 성 발데베르투스의 권고를 받아들여 랭스(Reims)와 가까운 랑(Laon)에 베네딕토회 수녀원을 세웠다.
10여 년간 수녀원장으로 수도 생활에 전념한 성녀 살라베르가는 670년경 선종해 수녀원에 묻혔다고 한다. 그리고 그녀를 뒤이어 안스트루다가 수녀원장이 되었다.
성녀 살라베르가의 동생인 성 레우디누스(Leudinus, 9월 11일)는 누나의 설득과 모범을 따라 아내와 헤어져 각자 수도 생활에 들어갔다. 그의 아내 오딜리아(Odilia)는 그즈음 누나가 설립한 랑의 수녀원으로 들어갔고, 그 또한 누나가 설립한 남자 수도원에서 수도 생활을 시작한 후 몇 개의 수도원을 더 설립했다.
667년 툴의 주교가 선종하자 그 도시의 사람들은 평소 거룩한 삶을 살던 성 레우디누스를 후임자로 선출했다. 그는 673년경 선종할 때까지 툴의 주교로서 자신의 직무를 성실히 수행하였다.
옛 “로마 순교록”은 9월 22일 목록에서 랑의 수녀원장인 성녀 살라베르가의 이름을 전해주었고, 2001년 개정 발행되어 2004년 일부 수정 및 추가한 “로마 순교록”은 과거 프랑크 왕국의 서부 지방인 네우스트리아(Neustria)의 랑에서 수녀원장으로 살았던 성녀 살라베르가에 대해 성 콜룸바누스(Columbanus, 11월 23일)에 의해 실명한 눈을 치료받아 눈을 뜨고 하느님을 섬기는 삶을 시작했다고 전하며, 선종 시기를 664년경으로 기록하였다.
그리고 그녀의 동생인 성 레우디누스는 프랑크 왕국 동부 지방인 아우스트라시아(Austrasia)에 있는 툴의 주교로서, 처음에는 결혼하여 살다가 그의 아내 오딜리아처럼 수도 생활에 들어갔다고 전해주며 9월 11일 목록에 추가하고, 선종 시기는 680년 이전으로 기록하였다. 성 레우디누스는 레우디누스 보도(Leudinus Bodo) 또는 보돈(Bodon)으로도 불린다.
(출처 : 가톨릭 굿뉴스)
3. 에메리타
- 가톨릭 성인 이름
Emerita - 호칭 구분
성녀 - 신분과 직업
동정 순교자 - 활동 연도와 지역
+259년경 로마
에메리타 여자 세례명과 같은 이름
에메리따.
에메리타 자료
옛 “로마 순교록”은 9월 22일 목록에서 로마의 거룩한 동정녀인 성녀 디냐(Digna)와 성녀 에메리타가 발레리아누스(253~260년 재위)와 갈리에누스(253~268년 재위) 황제의 그리스도교 박해 때 체포되어 순교했고, 그들의 유물이 로마의 성 마르첼루스(San Marcello al Corso) 성당에 보관되어 있다고 했다.
2001년 개정 발행되어 2004년 일부 수정 및 추가한 “로마 순교록”은 같은 날 목록에서 로마의 오스티엔세 가도(Via Ostiense)에 있는 코모딜라(Commodilla) 카타콤바에 있는 성녀 에메리타를 기념한다고 기록하였다. 하지만 성녀 디냐에 대해 더는 언급하지 않았다.
(출처 : 가톨릭 굿뉴스)
4. 이라이스
- 가톨릭 성인 이름
Irais - 호칭 구분
성녀 - 신분과 직업
동정 순교자 - 활동 연도와 지역
+300년
이라이스 여자 세례명과 같은 이름
헤라이스.
이라이스 자료
이집트 태생의 성녀 이라이스는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의 박해 중에 참수형을 받고 순교하였다. 그녀는 헤라이스(Herais)로도 불린다.
(출처 : 가톨릭 굿뉴스)
그 외 세례명 날짜로 찾기
그 외 세례명 이름으로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