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주교 세례명/세례명 날짜 찾기

12월 7일 남자세례명 5가지

피어나네 2023. 12. 7. 08:00
반응형

 

12월 7일에 해당하는 남자세례명 세르보, 암브로시오, 에우티키아노, 테오도로, 폴리카르포, 총 5분 목록이에요.

 

12월 7일이 영명축일인 남자세례명은 어떤 이름이 좋을까요? 아래 세례명 목록을 클릭하면 해당하는 천주교 세례명 상세정보로 이동합니다. 어울리는 세례명을 지금 바로 찾아보세요.

 

12월 7일 여자세례명 부르군도파라, 총 1분 목록은 여기에 있어요.

 

 

 

 

세례명 어떤 이름이 좋을까?

12월 7일
천주교 남자세례명
5가지

 

 

 

 

12월 7일 남자세례명 목록

 

  1. 세르보

  2. 암브로시오

  3. 에우티키아노

  4. 테오도로

  5. 폴리카르포

 

12월 7일 천주교 남자세례명 5가지

 

 

1. 세르보

 

  • 가톨릭 성인 이름
    Servus

  • 호칭 구분
    성인

  • 신분과 직업
    순교자

  • 활동 연도와 지역
    +484년

 

 

세르보 남자 세례명과 같은 이름

세르부스, 쎄르보, 쎄르부스.

 

 

세르보 자료

아프리카의 귀족 출신인 성 세르부스(또는 세르보)는 정통교리를 지키다가 아리우스파(Arianism) 반달족에 의해 고문을 받고 순교하였다. 그 외에 그의 생애에 대한 기록은 남아있지 않다.

 

(출처 : 가톨릭 굿뉴스)

 

 


 

2. 암브로시오

 

  • 가톨릭 성인 이름
    Ambrose

  • 호칭 구분
    성인

  • 신분과 직업
    주교, 교부, 교회학자

  • 활동 연도와 지역
    339-397년 밀라노

 

 

암브로시오 남자 세례명과 같은 이름

암브로시우스, 앰브로스.

 

 

암브로시오 자료

성 암브로시우스(Ambrosius, 또는 암브로시오)는 갈리아(Gallia)의 지방 장관으로 재직한 아우렐리우스의 아들로 339년 독일 남서부 트리어(Trier)에서 태어났다. 그는 부친이 사망 후 로마(Roma)에서 인문 교육을 받아 수사학과 법학 외에 그리스어에도 능통하였다.

가문의 전통에 따라 그는 국가 관리의 길을 택해 뛰어난 실력과 좋은 가문을 배경으로 빨리 출세하였다. 그는 시르미움(Sirmium, 오늘날 유고슬라비아의 미트로비카)의 지방 법원에서 잠시 근무하다가 지방 장관 프로부스(Probus)의 고문이 되었고, 그의 추천으로 370년에 에밀리아 리구리아(Aemilia-Liguria)의 수도인 밀라노의 집정관이 되었다.

성 암브로시우스가 그 지방을 다스리던 때 밀라노에는 서방 교회 아리우스주의(Arianism)의 대표자인 아욱센티우스(Auxentius)가 주교로 있었다. 아욱센티우스는 발렌티니아누스 1세 황제의 도움으로 교회에서 파문당했음에도 불구하고 죽을 때까지 밀라노의 주교로 재직하였다.

그러나 그가 죽자 후임자를 선출하는 과정에서 아리우스주의자들과 정통 교리를 따르는 신자들 사이에 격렬한 대립이 발생하였다. 집정관인 성 암브로시우스는 밀라노의 질서 회복을 위해 이 문제에 개입하였다. 아리우스주의자들과 정통 교리를 따르는 신자들을 중재하면서 성 암브로시우스는 성당에 모여 있던 신자들에게 평화적 방법과 대화를 통해 화해를 추구하자고 연설을 하였다.

이때 뜻밖에 시민들의 절대적 지지로 성 암브로시우스가 주교로 선출되었고 그는 수락할 수밖에 없었다. 그 당시 성 암브로시우스는 세례도 받지 않은 예비신자였다. 그래서 그는 니케아(Nicaea) 공의회의 결정을 따르는 주교로부터 세례성사를 받은 뒤, 8일 후인 374년 12월 7일 주교품을 받았다.

주교직은 막중한 책임이 따르는 지위이다. 그리고 밀라노는 로마제국 서부 지역의 행정적 중심지였기 때문에 주교 역시 불가피하게 정치에 개입되어 있었다. 홍수처럼 밀려드는 개종자들, 수많은 이교도와 아리우스 이단에 동조하는 그리스도인들 등 모든 문제를 새 주교인 성 암브로시우스가 해결해야만 했다.

주교가 된 후 성 암브로시우스는 자신의 부족함을 고백하며 자신의 모든 재산을 가난한 이들을 위해 희사하고, 수도자와 같이 청빈과 극기의 생활을 하면서 신학과 성경 등을 연구하였다. 그에게 신학을 가르쳐 준 사람은 훗날 그의 후계자가 된 성 심플리키아누스(Simplicianus, 8월 15일) 신부였다. 그는 오래지 않아 당대의 유명한 설교자가 되었고, 아리우스를 반대하는 서방 교회의 가장 영향력 있는 지도자가 되었다.

성 암브로시우스가 주교품을 받은 지 약 1년 만에 발렌티니아누스 1세 황제가 사망하고, 그의 아들 그라티아누스가 황제가 되었다. 새 황제의 고문관이 된 성 암브로시우스는 황제를 설득하여 니케아 신앙 고백을 따르도록 하고 서방에서 아리우스파를 축출하는 법안을 만들게 하였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황제가 전투에서 막시무스에게 살해되자 성 암브로시우스는 다시 막시무스를 설득하였다. 그는 로마의 원로원 회의실에 승리의 여신상과 제단을 재건하려는 로마의 집정관 심마쿠스(Symmachus) 일파의 시도를 분쇄하는 데 성공하였으며, 385년에는 발렌티니아누스 2세의 어머니로 아리우스주의 추종자인 황후 유스티나의 영향으로 밀라노의 성당들을 일단의 아리우스주의자들에게 내주라고 명한 발렌티니아누스 황제의 명령에 성공적으로 저항하였다.

390년 테살로니카인들이 폭동을 일으켜 로마 총독을 살해하자 그에 대한 징벌로써 테오도시우스 1세 황제가 군인들에게 진압을 명령했을 때, 군인들의 무차별 진압으로 7,000여명이 살해당하였다. 이에 성 암브로시우스는 황제에게 범죄의 중대함을 알리는 편지를 썼다.

그 편지에서 성 암브로시우스는 참회의 필요성을 깨닫게 하고 공식 참회 행위로 보속해야 용서받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 황제는 이에 순순히 응해 성탄 때 황제복 대신 참회복으로 갈아입고 통회하였다. 성 암브로시우스는 항상 다음과 같은 원칙 밑에서 행동하였다. “황제는 교회 안에 있다. 그는 교회 위에 있을 수 없다.”

393년 발렌티니아누스 2세가 갈리아에서 아르보가스투스들에 의하여 살해되었는데, 그들의 대표자 에우게니우스는 우상 숭배를 재건하려고 시도하는 무리의 우두머리였다. 성 암브로시우스는 그들의 살인과 공격을 공개적으로 비난함으로써 테오도시우스 황제는 마침내 제국 내에서 우상 숭배를 완전히 없애버렸다.

395년 1월에 테오도시우스 황제가 심한 질병으로 밀라노에서 사망하자 성 암브로시우스가 그의 장례 때 기도하고 설교하였다. 그 후 2년 뒤인 397년 4월 4일 성 암브로시우스도 밀라노에서 선종하였다. 고령의 성 심플리키아누스가 그를 계승하여 밀라노의 주교가 되었다.

성 암브로시우스의 시신은 밀라노의 성 암브로시우스 대성당 지하 묘지에 안장되어 공경을 받고 있다. 옛 “로마 순교록”이나 2001년 개정 발행되어 2004년 일부 수정 및 추가한 “로마 순교록”은 그가 4월 4일 주님 부활 대축일 전날인 성토요일에 선종했으나, 그가 주교로 축성된 12월 7일에 전례적으로 축일을 기념한다고 기록하였다.

성 암브로시우스는 초기 교회의 가장 위대한 인물 가운데 한 명으로, 로마 제국이 쇠퇴해 가던 서방 세계에서 그리스도 교회의 부흥을 새로운 단계에 끌어올린 인물이다. 또한 세속의 권위에 대항하여 교회의 독립과 자주성을 옹호했던 탁월한 행정가이면서, 성경 · 교의신학 · 신비신학 등의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설교를 통해 설파한 위대한 신학자였다.

그는 설교를 통해 이단 사상에 빠져있던 성 아우구스티누스를 이끌어 가톨릭 신앙을 고백하도록 했으며, 387년 그에게 세례를 주었다. 이 사건은 그 당시의 사회를 온통 뒤흔들어 놓은 놀라운 일이었다.

그래서 성 암브로시우스는 히포(Hippo)의 성 아우구스티누스(Augustinus, 8월 28일), 성 히에로니무스(Hieronymus, 9월 30일), 교황 성 대 그레고리우스 1세(Gregorius I, 9월 3일)와 함께 서방 교회의 4대 교부의 한 명으로 추앙받는다.

또한 그는 “신비론”(De mysteriis)과 “성사론”(De sacramentis)이란 책에서 주로 세례성사와 견진성사 그리고 성체성사에 대해 자세히 다뤘다. 그리고 그는 시편을 대중적인 찬미의 기도로 활용하도록 가르친 첫 번째 인물이다. 그밖에 그의 주요 저서로는 “성직자들의 직무론”(De Officiis Ministrorum), “동정녀”(De Virginibus), “신앙론”(De Fide) 등이 있다.

 

(출처 : 가톨릭 굿뉴스)

 

 


 

3. 에우티키아노

 

  • 가톨릭 성인 이름
    Eutychian

  • 호칭 구분
    성인

  • 신분과 직업
    교황, 순교자

  • 활동 연도와 지역
    +283년

 

 

에우티키아노 남자 세례명과 같은 이름

에우띠치아노, 에우띠치아누스, 에우티치아노, 에우티치아누스, 에우티키아누스.

 

 

에우티키아노 자료

성 에우티키아누스(Eutychianus, 또는 에우티키아노)는 이탈리아의 토스카나(Toscana) 출신으로 마리누스(Marinus)의 아들이다.

그는 교황 성 펠릭스 1세(Felix I, 5월 30일)를 계승하여 275년 1월 4일 교황으로 축성되었으며, 283년 12월 7일에 선종하여 칼리스투스(Callistus) 카타콤바의 교황 묘지에 묻혔다는 사실 외에는 알려진 것이 없다.

로마(Roma)에서 성인으로 공경해 온 그는 칼리스투스 카타콤바의 교황 묘지에 안장된 마지막 교황이다. 로마 순교록은 그의 축일을 12월 7일로 기록하고 있으나, 12월 8일을 축일로 기념하기도 한다.

 

(출처 : 가톨릭 굿뉴스)

 

 


 

4. 테오도로

 

  • 가톨릭 성인 이름
    Theodore

  • 호칭 구분
    성인

  • 신분과 직업
    순교자

  • 활동 연도와 지역
    +연대미상

 

 

테오도로 남자 세례명과 같은 이름

데오도로, 데오도루스, 떼오도로, 떼오도루스, 테오도루스.

 

 

테오도로 자료

성 폴리카르푸스(Polycarpus)와 성 테오도루스(Theodorus, 또는 테오도로)는 로마제국의 그리스도교 박해 중에 안티오키아(Antiochia)에서 순교하였다.

 

(출처 : 가톨릭 굿뉴스)

 

 


 

5. 폴리카르포

 

  • 가톨릭 성인 이름
    Polycarp

  • 호칭 구분
    성인

  • 신분과 직업
    순교자

  • 활동 연도와 지역
    +연대미상

 

 

폴리카르포 남자 세례명과 같은 이름

뽈리까르뽀, 뽈리까르뿌스, 폴리까르뽀, 폴리까르뿌스, 폴리카르푸스.

 

 

폴리카르포 자료

성 폴리카르푸스(Polycarpus, 또는 폴리카르포)와 성 테오도루스(Theodorus)는 로마제국의 그리스도교 박해 중에 안티오키아(Antiochia)에서 순교하였다.

 

(출처 : 가톨릭 굿뉴스)

 

 


 

그 외 세례명 날짜로 찾기

 

날짜순 천주교 세례명

어떤 세례명이 좋을까?

pieonane.com

 


 

그 외 세례명 이름으로 찾기

 

이름순 가톨릭 세례명

본받고 싶은 가톨릭 성인 찾기

pieonane.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