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주교 세례명/세례명 이름 찾기

데레사 여자세례명 14인 목록

피어나네 2023. 1. 23. 16:00
반응형

 

여자세례명 데레사는 테레사, 테레시아 같은 이름으로 불립니다. 천주교 여자세례명 데레사 14분 자료를 한눈에 볼 수 있게 모았어요. 축일로 구분한 아래 세례명 목록을 클릭하면 해당하는 데레사 가톨릭 성인의 스토리로 이동합니다. 본받고 싶은 데레사를 찾아 가톨릭 성인의 믿음과 가치를 발견해 보세요.

 

 

 

 

본받고 싶은 세례명 찾기

데레사
천주교 여자세례명
14인 목록

 

 

 

 

데레사 여자세례명 목록

 

  1. 데레사 에우스토키오 베르체리 (3월 3일)

  2. 권천례 데레사 (5월 29일)

  3. 데레사 (왕비) (6월 17일)

  4. 데레사 (예수의) (7월 13일)

  5. 데레사 베네딕타 (십자가의) (8월 9일)

  6. 데레사 (예수 요르넷 이바르스의) (8월 26일)

  7. 데레사 마르가리타 레디 (9월 1일)

  8. 데레사 (마더) (9월 5일)

  9. 김임이 데레사 (9월 20일)

  10. 이매임 데레사 (9월 20일)

  11. 김 데레사 (9월 20일)

  12. 데레사 쿠데륵 (9월 26일)

  13. 데레사 (수녀) (10월 1일)

  14. 데레사 (설립자) (10월 15일)

 

데레사 천주교 여자세례명 14가지

 

 

1. 데레사 에우스토키오 베르체리

 

  • 세례명 축일
    3월 3일

  • 호칭 구분
    성녀

  • 가톨릭 성인 이름
    Teresa Eustochio Verzeri

  • 신분과 직업
    설립자, 수녀원장

  • 활동 연도와 지역
    1801-1852년 베르가모

 

 

데레사 에우스토키오 베르체리 세례명과 같은 이름

베르제리, 에우스토키움, 테레사, 테레시아.

 

 

데레사 에우스토키오 베르체리 이야기

1801년 7월 31일 이탈리아 롬바르디아(Lombardia)의 베르가모에서 태어난 성녀 테레사 에우스토키오 베르체리(Teresia Eustochio Verzeri, 또는 데레사 에우스토키오 베르체리)는 아버지 안토니오 베르체리(Antonio Verzeri)와 여백작인 어머니 엘레나 페드로카 그루멜리(Elena Pedrocca-Grumelli)의 일곱 자녀 중 맏이로 태어났다.

베르체리 가문은 성 히에로니무스(Hieronymus, 9월 30일)에 대한 특별한 신심을 가지고 있었기에, 나중에 브레시아(Brescia)의 주교가 된 성녀 테레사의 동생은 지롤라모(Girolamo, 히에로니무스)로, 테레사는 성녀 바울라(Paula, 1월 26일)의 딸을 본받는다는 의미에서 에우스토키오(Eustochio 또는 Eustochium, 9월 28일)로 이름지었다.

성녀 테레사는 10세 때에 첫영성체를 하면서부터 수녀가 될 마음을 품었다. 그 후 견진성사를 받고나서부터는 베르가모 대성당의 총대리인 요셉 신부로부터 영성지도와 격려를 받았다.

그 후 그녀는 세 번씩이나 산 그라타(San Grata)의 베네딕토 수도원에 들어갔지만 세 번 다 교육을 받는 도중에 나왔다. 그 후에 그녀는 그로모라고 부르는 작은 집에서 소녀들에게 신앙교육을 시키는데 전념하였다.

이것은 후에 그녀가 세운 수녀회의 씨앗이었다. 성녀 테레사는 1831년 베르가모에서 '예수 성심의 딸들 수도회'(Daughters of the Sacred Heart of Jesus)를 설립했다.

그녀는 안토니아를 비롯한 비르지니아 시모니 그리고 카타리나 만제노니 등의 도움을 받아 소녀들을 대상으로 교육하는 한편, 단식과 침묵 등을 통하여 힘든 완덕의 길을 걷기 시작했다.

그 후 성녀 테레사는 요셉 신부의 지도하에 공동생활을 위한 규칙을 만들었으며, 가난한 어린이 교육, 병자방문 그리고 윤리적 위기에 처한 소녀들의 휴식처 겸 신앙교육, 여성 피정지도 등을 실시하였다.

1841년 성녀 테레사 원장과 그의 동료들은 종신서원을 발했고, 이듬해 베르가모 주교로부터 수도회 규칙서에 대한 승인을 받았다. 그리고 1847년 교황 비오 9세(Pius IX)는 이 수도회를 공식 인준하였다.

성녀 테레사는 북부 이탈리아를 강타한 콜레라에 걸려 1852년 3월 3일 브레시아(Brescia)에서 운명하였다. 그녀의 유해는 베르가모의 예수 성심의 딸들 수도회 성당에 모셔졌다.

예수 성심의 딸들 수도회는 그 후 이탈리아뿐만 아니라 브라질, 아르헨티나, 볼리비아, 카메룬, 인디아, 알바니아 등으로 진출해서 그들의 사명을 수행하고 있다.

성녀 테레사는 1946년 교황 비오 12세(Pius XII)에 의해 복자품에 올랐고, 2001년 6월 10일 교황 성 요한 바오로 2세(Joannes Paulus II)에 의해 시성되었다.

 

(출처 : 가톨릭 굿뉴스)

 

 


 

2. 권천례 데레사

 

  • 세례명 축일
    5월 29일

  • 호칭 구분
    복녀

  • 가톨릭 성인 이름
    權千禮 Teresa

  • 신분과 직업
    양반, 동정 부부, 순교자

  • 활동 연도와 지역
    1783-1819년 한국

 

 

권천례 데레사 세례명과 같은 이름

권 데레사, 권데레사, 테레사, 테레시아.

 

 

권천례 데레사 이야기

권천례(權千禮) 데레사(Teresia)는 한국 천주교회 창설 주역 가운데 한 사람인 권일신 프란치스코 하비에르의 딸이요, 1801년 신유박해 순교자 권상문 세바스티아노의 동생이다. 1783년 경기도 양근에서 태어난 권 데레사는 6세 때 어머니를 여의고, 1791년의 신해박해로 아버지까지 잃었다.

권 데레사는 어렸을 때부터 덕행과 신심이 남달랐다. 또 성장한 뒤로는 온화함과 애덕으로 형제간에 평온을 유지하는 데 노력하였다. 그러나 그녀의 나이 17세 때 일어난 신유박해로 온 집안이 풍파를 입게 되었다.

아무도 의지할 데가 없게 된 권 데레사는 조카 하나를 데리고 한양으로 올라가 생활하면서 동정을 지키며 살아가려고 하였다. 그러자 친척들이 그녀를 찾아와 ‘조선에서 동정을 지키며 살아간다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 것인가.’ 하며 설득하였다.

결국 그녀는 계속되는 친척들의 설득을 받아들여 동정을 포기하기로 작정하였으며, 20세에 이르러 조숙 베드로와 혼인을 하였다. 당시 조 베드로는 냉담자였다.

혼인날 밤에, 권 데레사는 ‘동정 부부로 살자고 부탁하는 글’을 써서 남편에게 건네주었다. 그러자 이상하게도 조 베드로는 마음이 변하여 아내의 뜻을 들어주었고, 잠깐 사이에 신앙심이 되살아나서 딴사람이 되었다.

이후, 권 데레사 부부는 남매처럼 지내기로 한 약속을 지키면서 15년을 생활하였으며, 정하상 바오로 성인이 성직자를 영입하려고 북경을 오갈 때마다 모든 뒷바라지를 하기도 하였다.

그들이 1817년 3월 말경에 포졸들에게 잡혀 문초를 받는 동안 어느 누구도 밀고하지 않았으며, 혹독한 형벌을 꿋꿋하게 참아 내었다. 권 데레사는 관장이 배교를 권유하자 이렇게 답하였다.

“천주는 모든 사람의 아버지이시고, 모든 피조물의 주인이십니다. 어떻게 그분을 배반하겠습니까? 이 세상 사람 모두, 부모를 배반하는 경우에는 용서를 받을 수 없습니다. 어찌 우리 모두의 아버지가 되시는 그분을 배반할 수 있겠습니까?”

관장은 다시 몇 차례에 걸쳐 문초와 형벌을 가하였지만, 권 데레사 부부의 신앙심을 꺾을 수 없다는 것을 알고는 옥에 가두라고 명령하였다.

권 데레사는 고통스러운 옥살이 중에도 하느님의 뜻이 이루어지기를 참을성 있게 기다렸다. 또 남편의 마음이 약해질 때마다 용기를 북돋워 주면서 “하느님께서 내려 주실 순교의 은혜에 감사를 드리자.” 하며 권면하였다.

권 데레사 부부는 2년 이상을 옥에 갇혀 있어야만 하였다. 그럼에도 그들의 신앙은 여전히 굳건하였으며, 마침내는 예수 그리스도를 위해 목숨을 바칠 자격을 얻게 되었다. 그들이 함께 참수형을 받고 순교한 것은 1819년 8월 10일(음력 6월 20일) 이후로, 당시 권 데레사의 나이는 36세였다.

교우들은 한 달이 지나서야 그들의 시신을 거둘 수 있었다. 이때 교우들은 권 데레사의 머리채를 바구니에 담아 남이관 세바스티아노 성인의 집에 두었는데, ‘바구니를 열면 향기가 진동하였다.’고 여러 교우들이 증언하였다.

권천례 데레사는 대전교구에서 열린 제6회 아시아 청년대회에 참석하고자 한국을 사목방문한 교황 프란치스코(Franciscus)에 의해 2014년 8월 16일 서울 광화문 광장에서 동료 순교자 123위와 함께 시복되었다.

시복미사가 거행된 광화문 광장 일대는 수많은 순교자와 증거자가 나온 조선시대 주요 사법기관들이 위치해 있던 곳이며, 또한 처형을 앞둔 신자들이 서소문 밖 네거리, 당고개, 새남터, 절두산 등지로 끌려갈 때 걸었던 순교의 길이었다. 윤지충 바오로와 123위 동료 순교자들은 매년 5월 29일에 함께 축일을 기념한다.

 

(출처 : 가톨릭 굿뉴스)

 

 


 

3. 데레사 (왕비)

 

  • 세례명 축일
    6월 17일

  • 호칭 구분
    복녀

  • 가톨릭 성인 이름
    Teresa

  • 신분과 직업
    왕비, 수녀

  • 활동 연도와 지역
    1176-1250년 포르투갈

 

 

데레사 (왕비) 세례명과 같은 이름

테레사, 테레시아.

 

 

데레사 (왕비) 이야기

포르투갈 왕 산초 1세(Sancho I)의 장녀이며, 복녀 마팔다(Mafalda, 5월 2일)의 언니인 테레사(Teresia, 데레사)는 레온(Leun)의 왕 알폰소 9세(Alfonso IX)와 결혼하였다.

테레사는 알폰소 9세와의 사이에서 세 명의 자녀를 두었는데, 사촌 간의 결혼이란 이유로 혼인 자체가 무효로 선언되자 포르투갈로 돌아와 자신의 영지인 로르바요(Lorvao) 수도원에서 살았다.

그녀는 과거 성 베네딕토의 규칙을 따르던 수도원을 시토회 규칙을 따르는 수도원으로 전환했다. 한때 그곳의 수녀가 300명을 넘었다고 한다.

테레사는 알폰소 9세가 사망한 후 잠시 레온 왕국으로 가서 왕위 계승 문제를 도와준 후 다시 로르바요로 돌아와서 수도 서원을 하고 수녀로서 살다가 1250년 6월 18일 선종하였다.

그녀는 1705년 교황 클레멘스 11세(Clemens XI)에 의해 시복되었다. 그리고 가톨릭교회에서 전례적으로는 6월 17일에 축일을 기념하고 있다.

 

(출처 : 가톨릭 굿뉴스)

 

 


 

4. 데레사 (예수의)

 

  • 세례명 축일
    7월 13일

  • 호칭 구분
    성녀

  • 가톨릭 성인 이름
    Teresa of Jesus

  • 신분과 직업
    수녀

  • 활동 연도와 지역
    1900-1920년 로스 안데스

 

 

데레사 (예수의) 세례명과 같은 이름

테레사, 테레시아.

 

 

데레사 (예수의) 이야기

성녀 로스 안데스의 예수의 테레사(Teresia de Jesus de los Andes, 또는 예수의 데레사)는 1900년 7월 13일 칠레(Chile) 산티아고(Santiago)의 상류 가정에서 후아나 페르난데즈 델 솔라르(Juana Fernandez del Solar)라는 이름으로 태어났다.

어려서부터 신심 깊었던 그녀는 프랑스의 맨발의 카르멜회 수녀인 리지외(Lisieux)의 성녀 테레사(10월 1일)의 전기를 읽고 큰 감동을 받았다. 이 성인전을 통해 그녀는 자신이 하느님을 위해 홀로 살기를 간절히 원하고 있음을 깨달았다.

그래서 그녀는 자기중심적인 성격을 극복하며 모든 것 위에 다른 사람을 두는 방향으로 자신을 변화시켜 나갔다. 그녀의 자기 변화에 더 큰 영감을 준 것은 첫영성체 때였다. 이를 통해 그녀는 주어지는 모든 것을 값진 것으로 만들기 위해 더욱 노력하였다.

1919년 5월 7일, 19살의 나이에 후아나(또는 후아니타 Juanita)는 로스 안데스의 카르멜회 여자 수도원에 입회하여 같은 해 10월 14일 착복식을 하고 예수의 테레사라는 수도명을 받았다.

그녀의 짧은 생애의 마지막을 향해가고 있을 때, 그녀는 자신의 영성 생활의 체험을 많은 사람과 나누기 위해 편지 쓰기 사도직을 시작했다. 그러나 수녀원에 들어온 지 얼마 되지 않아 그녀는 치명적인 발진티푸스에 걸려 활동의 제약을 받게 되었다.

그녀의 스무 번째 생일을 석 달 남겨 두고, 또 6개월의 법정 수련 기간을 완료하기 직전에 그녀는 죽음의 위험 중에 있는 상태에서 관면을 받고 1920년 4월 7일 첫 서원을 하고 며칠 지나지 않아 12일, 그해의 사순시기 성주간 중에 선종하였다.

성녀 예수의 테레사가 선종한 후 그녀의 시신은 산티아고에서 90km 정도 떨어진 로스 안데스의 아우코 린코나다(Auco-Rinconada) 순례지에 모셔졌다.

매년 10만 명 정도의 순례자들이 그녀의 유해를 참배하기 위해 이곳을 찾을 정도로 그녀는 대중의 사랑을 받았다. 특히 여성과 젊은이들에게 잘 알려진 그녀의 생애에 대한 텔레비전 미니시리즈가 1990년대 초 칠레에서 제작되어 방영되기도 했다.

그녀는 1987년 4월 3일 칠레 산티아고에서 교황 성 요한 바오로 2세(Joannes Paulus II)에 의해 시복되었고, 1993년 3월 21일 바티칸 성 베드로 대성당에서 같은 교황에 의해 성인품에 올랐다.

그녀는 칠레의 첫 번째 성인이자 유럽 이외의 지역에서 성인으로 선포된 첫 번째 맨발의 카르멜 여자 수도원의 수녀이다.

또한 아빌라(Avila)의 성녀 테레사(10월 15일), 예수 성심의 성녀 테레사 마르가리타 레디(Teresia Margarita Redi, 3월 7일), 리지외의 성녀 테레사(10월 1일), 십자가의 성녀 테레사 베네딕타(Teresia Benedicta, 8월 9일)와 더불어 맨발의 카르멜 여자 수도원에서 다섯 번째로 테레사 이름을 가진 성녀이다.

 

(출처 : 가톨릭 굿뉴스)

 

 


 

5. 데레사 베네딕타 (십자가의)

 

  • 세례명 축일
    8월 9일

  • 호칭 구분
    성녀

  • 가톨릭 성인 이름
    Teresa Benedicta of the Cross

  • 신분과 직업
    수녀, 철학자, 순교자

  • 활동 연도와 지역
    1891-1942년

 

 

데레사 베네딕타 (십자가의) 세례명과 같은 이름

베네딕다, 베네딕따, 분다, 에디트 슈타인, 에디트슈타인, 테레사, 테레시아.

 

 

데레사 베네딕타 (십자가의) 이야기

1891년 10월 12일 독일 동북부 지역의 브레슬라우(Breslau)의 전통 유대인 가정에서 11번째 아이로 태어난 성녀 에디트 슈타인(Edith Stein)은 두 살 때 목재상을 하던 아버지 지그프리트(Siegfried Stein)를 일사병으로 여의고, 열심한 유대인이었던 어머니 아우구스트(Auguste Stein Courant)에 의해 양육되었다.

그녀는 어려서부터 집안에서 거행되는 유대교 전통 예식을 보며 자랐고, 유달리 고집스럽고 사색과 독서를 좋아하는 학구적인 성격의 아이였다.

11세 때 숙부의 갑작스런 죽음을 경험하면서 삶의 궁극적인 의미에 대해, 그리고 유대인들이 믿고 있는 하느님의 존재에 대해 의심을 품기 시작하였다. 또 가족과 친지들의 형식적인 유대교 의식과 기도에 실망하여 더 이상 참석하지 않기로 결단을 내리기도 하였다.

그녀는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11년까지는 브레슬라우에서, 그리고 1913년부터는 괴팅겐(Gottingen) 대학으로 옮겨 심리학, 철학, 역사학, 독일어학 등을 공부하였다.

다양한 학문을 공부하던 중 제1차 세계대전의 발발로 잠시 간호사로 활동하기도 했던 그녀는 1916년 프라이부르크(Freiburg)에서 후설(Edmund Husserl)의 지도로 박사학위를 받고 그의 개인조교가 되었다.

그 후 독자적인 연구 활동을 하며 교수 취임 논문을 제출하고 후설이 직접 추천서까지 작성해 주었으나, 당시 독일 학계에서 여성이 교수로 재직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였기 때문에 그 뜻을 이루지 못하였다.

그 후 브레슬라우로 돌아와 계속 철학 연구 논문들을 집필하던 중 1921년 여름 같은 괴팅겐 학파 친구인 콘라트 마르티우스와 그녀의 남편이 경영하던 농장에 머무르게 되었다.

친구 부부가 외출한 어느 날 서재에서 우연히 손에 잡힌 “아빌라의 성녀 데레사의 생애”를 읽고, 그녀는 자신이 오랫동안 실존적으로 회의하고 있었던 신이 그녀를 사랑해 왔으며, 그녀가 전 인격으로 그 사랑에 응답하기를 기다려 왔음을 깊이 깨닫게 되었다.

이러한 하느님 체험 후 그녀는 평화를 얻었고, 이듬해 1월 1일 테레사 베네딕타(Teresia Benedicta)라는 세례명으로 세례를 받았다.

세례를 받음과 동시에 성녀 테레사 베네딕타는 카르멜 수도원에 입회할 의지를 확고히 하였으나, 어머니의 반대와 지도신부의 만류로 이를 연기하였다.

그 대신 지도신부의 제안으로 1931년까지 슈파이어(Speyer)에 있는 성 막달레나 수도원 교사 양성 학교와 도미니코 수녀회의 여학교에서 독일어와 역사를 가르쳤다. 그리고 점차 후설의 관념론적인 철학 노선을 떠나 그리스도교 철학의 실재론적인 사상을 연구하기 시작하였다.

계속 왕성한 교육 및 학문 활동을 하던 그녀는 발처 아빠스로부터 카르멜 수도원 입회를 허락받고 어머니와 힘겨운 이별을 나눈 뒤 1933년 10월 14일 쾰른의 카르멜 수도원에 입회하면서 수도명을 십자가의 테레사 베네딕타(Teresia Benedicta a Cruce)로 정하였다. 입회한 후에도 수도원 원장의 적극적인 학문 지원에 힘입어 지속적인 연구와 저술활동을 할 수 있었다.

1936년 9월 14일 첫서원을 하였으나, 바로 그 해 어머니가 사망하였다. 그녀는 마지막까지 어머니가 지녀왔던 유대교 신앙을 존중해 주었다. 1938년 4월 21일 종신서원을 하였다.

그러나 나치의 유대인에 대한 위협은 날로 심해져 갔고, 성녀 테레사 베네딕타는 이를 피하기 위해 수도원의 주선으로 비밀리에 그녀의 언니 로사(Rosa)와 함께 네덜란드의 에히트(Echt) 카르멜 수도원으로 옮겼다. 이곳에서 그녀는 십자가의 성 요한(Joannes) 탄생 400주년을 기념하는 저서 “십자가의 학문”을 발표하였다.

그런데 이때 네덜란드의 주교들이 독일의 반유대주의를 비난하였고, 이에 화가 난 히틀러는 모든 비아리안계 가톨릭 신자들을 체포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이로 인해 1942년 8월 2일 언니 로사와 함께 게슈타포에게 체포된 그녀는 많은 유대인 그리스도교 신자들과 함께 아메르스포르트(Amersfoort) 수용소를 거쳐 베스터보르크(Westerbork)로 끌려갔다.

그리고 그 해 8월 7일 이들 중 987명이 아우슈비츠 수용소에서 살해되었는데, 두 자매는 이틀 후인 8월 9일 가스실에서 살해된 것으로 추정된다.

그녀가 사망한 지 20년 만인 1962년 1월 4일 쾰른의 대주교 프링스(Josef Frings) 추기경은 그녀의 시복을 위한 소송을 제기하였고, 1980년에는 독일 주교회의를 거쳐 로마에서 시복절차를 위한 공식적인 청원이 이루어졌다.

그 후 교황 성 요한 바오로 2세(Joannes Paulus II)가 독일을 방문한 1987년 5월 1일 쾰른 대성당에서 순교자로 시복되었고, 1998년 10월 11일 바티칸의 성 베드로 광장에서 같은 교황에 의해 시성되었다.

시성식에서 그녀를 “이스라엘의 탁월한 딸이자 전세계를 위한 성인으로서 교회의 충실한 딸”이라고 칭송한 교황 성 요한 바오로 2세는, 이듬해 10월 1일 자의교서를 통해 시에나의 성녀 카타리나(Catharina)와 스웨덴의 성녀 비르지타(Birgitta)와 함께 그녀를 유럽 대륙의 수호성인으로 선포하였다.

 

(출처 : 가톨릭 굿뉴스)

 

 


 

6. 데레사 (예수 요르넷 이바르스의)

 

  • 세례명 축일
    8월 26일

  • 호칭 구분
    성녀

  • 가톨릭 성인 이름
    Teresa de Jesus Jornet Ibars

  • 신분과 직업
    설립자

  • 활동 연도와 지역
    1843-1897년

 

 

데레사 (예수 요르넷 이바르스의) 세례명과 같은 이름

조르넷, 테레사, 테레시아.

 

 

데레사 (예수 요르넷 이바르스의) 이야기

에스파냐 북동부 카탈루냐(Cataluna) 태생인 예수 요르넷 이바르스의 성녀 테레사(Teresia de Jesus Jornet Ibars, 또는 데레사)는 수도회를 설립하기 전에 레리다(Lerida)에서 학교 교사로 지냈다.

종교적 삶에 대한 그녀의 열정은 수도회 입회를 원했으나 영적 지도자의 충고로 포기한 후, 1872년 1월에 경로 수녀회로 불리는 가난한 사람들을 위한 작은 자매회를 설립하였다. 그녀는 1958년 시복되었고, 1974년 교황 성 바오로 6세(Paulus VI)에 의해 시성되었다.

 

(출처 : 가톨릭 굿뉴스)

 

 


 

7. 데레사 마르가리타 레디

 

  • 세례명 축일
    9월 1일

  • 호칭 구분
    성녀

  • 가톨릭 성인 이름
    Teresa Margaret Redi

  • 신분과 직업
    수녀

  • 활동 연도와 지역
    1747-1770년

 

 

데레사 마르가리타 레디 세례명과 같은 이름

마가렛, 마르가리따, 말가리다, 말가리따, 말가리타, 테레사, 테레시아.

 

 

데레사 마르가리타 레디 이야기

이탈리아 중부 아레초(Arezzo) 사람들은 흔히 성녀 테레사 마르가리타 레디(Teresia Margarita Redi, 또는 데레사 마르가리타 레디)를 안나 마리아 레디(Anna Maria Redi)라고 불렀다.

그녀는 10세 되던 해에 피렌체(Firenze)로 가서 성 아폴로니아 공동체의 수녀들로부터 교육을 받은 후 계속하여 그곳에서 몇 년을 살았다.

그녀는 집으로 돌아온 지 몇 개월 뒤, 아빌라의 성녀 테레사(Teresa of Avila)의 책에 나오는 그녀의 초자연적인 권고에 이끌려 카르멜 회원이 되려고 하였다. 그래서 1764년 9월 1일 그녀는 피렌체에 있는 성녀 테레사의 맨발의 카르멜 수도회에 입회하였다.

그녀는 특히 예수성심 신심에 있어서 뛰어났으며, 숨은 생활이 오히려 남을 위해 희생하기 좋은 기회임을 잘 이해하고 실천했던 뛰어난 성녀였다. 그녀는 주로 공동체 내에서 아픈 동료들을 돌보았는데, 수녀이기보다는 간호사에 더 적합한 사람처럼 보였다고 한다.

1770년 3월 7일 23세의 일기로 피렌체에서 선종한 그녀의 유해는 현재까지 부패되지 않고 있으며, 피렌체 주민들로부터 높은 공경을 받고 있다. 그녀는 1929년 교황 비오 11세(Pius XI)에 의해 시복되었으며, 1934년 3월 19일 같은 교황으로부터 시성되었다.

 

(출처 : 가톨릭 굿뉴스)

 

 


 

8. 데레사 (마더)

 

  • 세례명 축일
    9월 5일

  • 호칭 구분
    성녀

  • 가톨릭 성인 이름
    Teresa(Mother)

  • 신분과 직업
    설립자, 수녀원장

  • 활동 연도와 지역
    1910-1997년 콜카타

 

 

데레사 (마더) 세례명과 같은 이름

마더 데레사, 마더 테레사, 마더데레사, 마더테레사, 테레사, 테레시아.

 

 

데레사 (마더) 이야기

성녀 마더 테레사(Mother Teresia, 또는 데레사)는 1910년 8월 26일 터키가 점령 중이던 알바니아(Albania)의 스코페(Skopje)에서 알바니아계인 아버지 니콜라 보약스히야(Nikola Bojaxhiu)와 어머니 드라네 보약스히야(Drane Bojaxhiu)의 3남매 중 막내로 태어나 다음날 곤히아 아녜스(Gouxha Agnes)라는 이름으로 세례성사를 받았다.

그녀가 태어난 지 2년 뒤인 1912년 알바니아는 터키로부터 독립했지만 스코페는 여전히 알바니아의 영토가 아니었다. 제1차 세계대전 후인 1918년 스코페는 세르비아를 모태로 탄생한 유고슬라비아 왕국의 영토가 되었고, 현재는 1991년 유고슬라비아로부터 독립한 마케도니아 공화국의 수도이다.

어려서부터 유복한 가정에서 신심 깊은 어머니로부터 철저히 신앙교육을 받은 그녀는 9살 때 건축업자였던 아버지를 갑자기 여의는 아픔을 겪기도 했지만, 소녀 시절부터 성인전과 선교사들의 이야기에 특별한 관심을 가졌다.

18살 되던 1928년 어느 날 그녀는 기도 중에 평소 선교에 대해 갖고 있던 관심이 자신을 수도 성소로 부르고 있음을 깨달았다. 그래서 예수회원인 본당신부의 지도와 도움을 받아 그해 11월 29일 인도의 콜카타에서 전교 중인 아일랜드 더블린(Dublin)의 로레토 수녀회(Sisters of Loreto)에 입회하였다.

그녀는 더블린에서 집중적으로 영어를 공부한 후 1929년 인도(India)에 도착하여 히말라야 산맥 근처에 있는 다르질링(Darjiling)에서 수련기를 시작했다. 1931년 5월 24일 첫 서원을 하면서 후에 교황 비오 12세(Pius XII)에 의해 ‘선교의 수호자’로 선포된 리지외(Lisieux)의 성녀 테레사의 이름을 자신의 수도명으로 택했다.

그 후 7년간 성녀 테레사 수녀는 로레토 수녀회가 운영하는 콜카타(옛 지명은 캘커타, Calcutta)의 성모여자고등학교에서 지리와 역사를 가르쳤다. 그리고 1937년 5월 24일 종신서원을 했고, 1944년에는 그 학교의 교장이 되었다.

1946년 9월 10일 연례 피정 참석차 다르질링으로 가는 기차 속에서 성녀 테레사 수녀는 그녀 스스로 후에 ‘부르심 속의 부르심’이라 묘사한 놀라운 체험을 했다. 그녀는 수도회를 떠나 가난한 사람들 속에 살며 그들에게 봉사해야 한다는 소명을 들은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 그녀는 많은 어려움 속에서도 교황청의 특별한 허락을 받아 1948년 수도회 밖에서 수도자로 살 수 있게 되었다. 전통적인 서구식 수녀복장이 아닌 인도 여성들이 평상복으로 입는 사리를 수도복으로 택한 그녀는 우선 성가정 병원에서 속성으로 기초 간호학을 이수한 후 콜카타의 빈민가에서 일하기 시작했다.

1949년 3월 19일 성모여자고등학교 출신 제자인 슈바시니 다스가 찾아와 아직 형성되지도 않은 수도회에 받아주길 간청해 첫 지원자로서 성녀 마더 테레사와 합류했다.

그리고 1950년 10월 7일 가난한 이들을 위해, 가난한 이들과 함께, 그들 안에서 살고자 설립한 ‘사랑의 선교회’(Missionaries of Charity)가 교황청으로부터 승인을 받고 처음부터 함께한 12명의 회원이 수련기를 시작했다.

1952년 8월 22일 가난한 사람들을 위한 임종자의 집을 열었는데, 문을 열자마자 정원까지 아픈 이들로 꽉 들어찼다. 1953년 사랑의 선교회 본원이 설립되었고, 이어서 빈민굴의 고아들을 위한 집과 콜카타 외곽에 나환자들을 위한 자립 센터도 열었다.

1965년 2월 1일 교황 성 바오로 6세(Paulus VI, 5월 29일)는 사랑의 선교회가 세계교회 안에서 일할 수 있도록 승인해 주었다. 교구 설립 수도회로서 지역 주교의 관할 안에서만 활동하던 사랑의 선교회가 이제는 세계 어디서나 선교 활동을 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이때 이미 사랑의 선교회에는 3백여 명의 수녀들이 여러 개의 시설에서 봉사하고 있었다. 베네수엘라(Venezuela)에 첫 해외 분원을 연 이후 아프리카, 호주, 유럽 등 여러 대륙에 진출했다.

교황 성 바오로 6세는 성녀 마더 테레사의 적극적 후원자가 되어 그녀가 선교 활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바티칸 시민권을 수여했다. 이렇게 해서 1971년에 이미 세계 여러 나라에 50여 개의 분원을 갖게 되었다.

1969년 3월 26일 ‘사랑의 선교회 협조자회’가 교황청으로부터 회칙을 인가받아 공식적으로 설립되었다. 이 협조자들은 세계 곳곳에서 사랑의 선교회가 가난한 이들을 위해 다양한 사업을 펼치는 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성녀 마더 테레사와 사랑의 선교회 활동이 세계 곳곳에 알려지면서 그녀는 여러 국제적인 상을 받기도 했다. 특히 1979년 12월 10일에는 세계적으로 유명한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다.

성녀 마더 테레사는 그 상을 자신이 온 삶을 바쳐 섬기고 사랑한 가난한 이들의 이름으로 받았다. 노벨 평화상을 받은 후 사랑의 선교회는 더욱 놀라운 속도로 세계 곳곳으로 뻗어나갔다.

1970년 이후 성녀 마더 테레사는 알코올 중독자와 마약 중독자들을 치료하고 사회 복귀를 돕는 치료 센터를 여러 곳에 열었다.

또한 나환자 병원과 나환자들을 위한 재활 및 사회 복귀 시설을 운영하고, 버려진 아이들을 위한 보호 시설과 죽어가는 사람들의 집 그리고 결핵 환자들과 영양실조 걸린 이들을 위한 치료소와 요양소들도 설치했다. 1980년대에 들어서는 후천성면역결핍증(HIV, 에이즈) 환자들을 위한 활동도 시작했다.

1990년 4월 16일 성녀 마더 테레사는 건강을 이유로 총장직에서 물러났으나 같은 해 9월 총장직에 다시 선출되었다. 1997년 9월 5일 가난한 이들의 어머니이며 세계 모든 이들의 영적 어머니인 성녀 마더 테레사는 87세를 일기로 콜카타에서 선종하였다. 그녀의 선종 소식에 종교와 이념, 민족과 인종을 초월해 전 세계가 한결같이 ‘인류의 참 어머니’를 잃었다며 애도하였다.

2003년 10월 19일 교황 성 요한 바오로 2세(Joannes Paulus II, 10월 22일)는 살아서부터 ‘성녀’로 추앙받았던 성녀 마더 테레사 수녀의 시복식을 선종 6년 만에 거행했다.

교황은 30여만 명의 순례자들이 모인 바티칸의 성 베드로 광장에서 “오늘 하느님은 우리에게 마더 테레사를 새로운 거룩함의 모범으로 제시해 주셨다.”라며 그녀의 시복을 선언했다. 그리고 2016년 9월 4일 같은 장소에서 프란치스코(Franciscus) 교황은 그녀를 성인의 품에 올렸다.

교황은 시성식 강론에서 온 생애를 통해 특별히 가난한 이들에게 하느님의 자비를 풍성히 나누어준 성녀 마더 테레사를 기억하며, 그녀를 통해 이해와 자비를 바라는 인류에게 희망과 기쁨이 함께하길 빌었다.

 

(출처 : 가톨릭 굿뉴스)

 

 


 

9. 김임이 데레사

 

  • 세례명 축일
    9월 20일

  • 호칭 구분
    성녀

  • 가톨릭 성인 이름
    金任伊 Teresa

  • 신분과 직업
    동정 순교자

  • 활동 연도와 지역
    1811-1846년 한국

 

 

김임이 데레사 세례명과 같은 이름

김 데레사, 김 테레사, 김데레사, 김테레사, 데레사, 테레사.

 

 

김임이 데레사 이야기

성녀 김임이 테레사(Teresia, 또는 데레사)는 서울 관우물골의 어느 신자 집에서 태어났다. 어려서부터 테레사는 열심히 계명을 지켰으며, 성인전 읽기를 좋아하고 그 덕행을 본받으려고 노력하였다. 이리하여 그녀는 이미 일곱 살 때에 동정을 지키기로 결심하였으며, 하느님을 사랑하고 남을 도와주고 자기 영혼을 구하는 것에만 전념하였다.

그녀는 여교우들이 임종할 때에 선종하도록 도와주고, 죽은 후에는 장사 지내는 일과 그들을 위하여 오랫동안 기도하는 것을 마치 자신의 직분으로 생각하였다. 이렇게 생활함으로써 테레사의 집안과 친한 이웃 사람들은 그녀가 결혼하지 않는 것을 이상하게 생각한다고 판단한 그녀는 몸을 피하기 위하여 왕비궁의 침모로 들어가 3년 동안 살았다.

그 후 궁궐에서 나와 20세가 되었을 때에 아버지를 여의고 얼마동안 오빠인 김 베드로(Petrus)의 집에 머물러 있다가, 그 뒤에는 친척이나 혹은 친지의 집을 찾아다니며 살았는데, 특히 이문우 요한(Joannes)의 양모 집에 가 일하며 생계를 이어나갔다.

1844년 테레사는 김대건 신부의 식모로 들어가게 되었다. 1839년부터 1841년까지 박해를 체험한 신자들은 새로운 박해가 일어나지나 않을까 하는 염려에서 불안하기 그지없는 생활을 하였으나, 그녀는 오히려 순교할 각오를 하고 있었는지 동생에게 이런 말을 하였다고 한다.

“언제고 신부님이 잡히시면 나는 자수를 하는 한이 있더라도 신부님의 뒤를 따를테니 이 세상에서 오랫동안 나하고 같이 살 생각은 하지 말라.”

잡히기 전날 테레사가 동생을 만나러 갔는데, 동생이 밤을 지내고 가라고 붙들자 테레사는 “안 된다. 현 카롤루스(Carolus) 회장님과 여러 교우들이 새 집에 바로 오늘 밤에 모여서 일을 의논하기로 했으니까 꼭 가보아야 한다.” 하며 돌아갔다.

이리하여 그날 밤, 테레사는 현 카롤루스의 집에서 다른 여신자들과 잡혀 온갖 고문을 받았다. 옥중에서도 그녀는 가장 용감하였고 같이 있던 신자들에게 하느님의 뜻을 온전히 따르라고 여러 번 권하였다.

그러던 중 테레사는 혹독한 매질을 이기지 못하여 순교하니, 때는 1846년 9월 20일이요 그녀의 나이는 36세였다.

그녀는 1925년 7월 5일 교황 비오 11세(Pius XI)에 의해 시복되었고, 1984년 5월 6일 한국 천주교회 창설 200주년을 기해 방한한 교황 성 요한 바오로 2세(Joannes Paulus II)에 의해 시성되었다.

 

(출처 : 가톨릭 굿뉴스)

 

 


 

10. 이매임 데레사

 

  • 세례명 축일
    9월 20일

  • 호칭 구분
    성녀

  • 가톨릭 성인 이름
    李梅任 Teresa

  • 신분과 직업
    동정 순교자

  • 활동 연도와 지역
    1788-1839년 한국

 

 

이매임 데레사 세례명과 같은 이름

이 데레사, 이 테레사, 이데레사, 이테레사, 테레사.

 

 

이매임 데레사 이야기

성녀 이매임 테레사(Teresia, 또는 데레사)는 어느 양반 집에서 태어났고, 순교자인 이영희 막달레나(Magdalena)와 이정희 바르바라(Barbara)의 고모이다.

외인 시절에 결혼한 이매임은 스무 살에 과부가 되어 친정으로 돌아왔을 때, 같은 동리의 한 여교우로부터 성교회를 알고 입교하였다.

이때부터 집안 식구들에게도 열심히 전교하였다. 그래서 이영희 막달레나의 어머니가 우선 입교하였고, 또한 어머니는 딸들을 입교시키게 되었다. 이매임은 판공성사 때가 되면 올케 허계임과 함께 상경하여 성사를 보곤 하였다.

기해년에 들어서면서 박해가 크게 일어났는데, 이 때 남명혁, 이광헌 등의 교회 지도자들이 체포되었다. 그러자 함께 모였던 김성임, 김 루치아(Lucia), 허 막달레나, 이 막달레나, 이 바르바라 등 6명은 천주를 위하여 목숨을 바치기로 하고 자수를 결정하였다.

그래서 4월 11일에 그들은 자수하였으나 포졸들은 도무지 믿으려 하지 않았다. 포장은 기가 막혀서 이와 같이 물었다.

“너희들은 천주교 도리가 옳은 것이라고 믿느냐?”

“물론입니다. 만약 거기에 대하여 조금이라도 의심을 가졌다면 지금 이 자리에 있지 아니할 것입니다.”

“배교하고 천주교 책을 바쳐라.”

“차라리 죽을지언정 배교를 못하겠습니다.”

여기서 주리 트는 형벌을 4차례를 당하여도 굴복하지 않자 그들을 포청으로 보냈다.

5일 후 포장이 다시 불러내어

“너희들이 당한 형벌과 옥중의 무서움이 너희들의 혼미함을 깨우치지 못하였을까?”

“저희들더러 배교하라고 권하시는 것은 시간을 허비하시는 것뿐입니다. 저희들이 자수를 한 것은 예수 그리스도를 증거하기 위함인데 그를 배반하라고 하신단 말씀입니까? 아니올시다. 참된 교우는 천주를 위하여 살고 천주를 위하여 죽는다는 것을 깨달으십시오. 나라법이 저희들을 사형에 처한다면 즐겨 죽겠습니다. 그러니 저희 교를 배반한다는 것은 절대로 안 될 말입니다.”

이리하여 그들은 형조로 이송되어 사형선고를 받고, 1839년 7월 20일 서소문 밖에서 참수형을 받고 치명하였다. 이때 그녀의 나이는 52세였다.

그녀는 1925년 7월 5일 교황 비오 11세(Pius XI)에 의해 시복되었고, 1984년 5월 6일 한국 천주교회 창설 200주년을 기해 방한한 교황 성 요한 바오로 2세(Joannes Paulus II)에 의해 시성되었다.

 

(출처 : 가톨릭 굿뉴스)

 

 


 

11. 김 데레사

 

  • 세례명 축일
    9월 20일

  • 호칭 구분
    성녀

  • 가톨릭 성인 이름
    金 Teresa

  • 신분과 직업
    과부, 순교자

  • 활동 연도와 지역
    1797-1840년 한국

 

 

김 데레사 세례명과 같은 이름

김 테레사, 김데레사, 김테레사, 데레사, 테레사.

 

 

김 데레사 이야기

성녀 김 테레사(Teresia, 또는 데레사)는 충청도 면천 고을에 살던 김대건 신부의 당고모이다. 

그녀의 조부 김진후 비오(Pius)는 1814년에 해미에서 순교했고, 부친인 김종한 안드레아(Andreas, 또는 김한현 안드레아)는 1816년에 대구에서 순교했던 순교자의 후손이다. 그러므로 박해를 피하여 이리저리 피해 다녔기에 그녀가 어디서 태어났는지는 정확히 알 수가 없다고 한다. 

어쨌든 그녀는 단아하고 자선심이 많은 처녀였다. 열일곱 살이 되어서 손연욱 요셉에게 출가하였는데, 단란한 생활 가운데서 여러 자녀를 낳아 모두 하느님을 경외하도록 교육을 시켰다.

그러던 중 1824년에 남편이 체포되어 해미 감옥에서 순교하자, 계속해서 정절을 지킴으로 모범이 되었을 뿐만 아니라, 가난으로 인하여 당하는 고통으로 만족하지 않고 매주 수요일과 금요일에 단식을 할 정도로 고행에 전심하였다.

당시 유방제(劉方濟, 파치피코) 신부가 조선에 입국하게 되자 신부의 처소를 보살필 사람을 구하였는데 김 테레사가 적임자로 뽑혀 정정혜 엘리사벳과 함께 이를 기쁘게 받아들여 열심히 일하였다.

유 신부가 조선을 떠난 후 김 테레사는 앵베르 주교의 처소를 보살피는 사람으로 일하던 중 박해가 일어났다. 그녀는 위험이 닥쳐왔을 때에도 피신하지 않고 있다가, 여러 신자들과 함께 7월 19일에 붙잡혀 오라로 결박을 당한 채 옥에 갇혔다.

김 테레사는 옥에서 고문과 갖가지 괴로움을 당하였지만, 배교하거나 신자들을 고발하거나 선교사들의 피난처를 말하지 않았으며, 더욱이 태형 300대의 고통을 꿋꿋한 자세로 참아 받았다.

김 테레사는 여섯 달 동안이나 옥중에서 고초를 겪은 후, 마침내 교수형의 선고를 받았다. 형리들은 그녀의 목에 끈을 감고 양쪽에서 오랫동안 잡아 당겨 끈의 양쪽 끝을 말뚝에 단단히 감아놓았다. 이리하여 김 테레사는 44세를 일기로 순교의 영광을 차지하였으니, 때는 1840년 1월 9일이었다.

그녀는 1925년 7월 5일 교황 비오 11세(Pius XI)에 의해 시복되었고, 1984년 5월 6일 한국 천주교회 창설 200주년을 기해 방한한 교황 성 요한 바오로 2세(Joannes Paulus II)에 의해 시성되었다.

 

(출처 : 가톨릭 굿뉴스)

 

 


 

12. 데레사 쿠데륵

 

  • 세례명 축일
    9월 26일

  • 호칭 구분
    성녀

  • 가톨릭 성인 이름
    Teresa Couderc

  • 신분과 직업
    수녀원장

  • 활동 연도와 지역
    1805-1885년

 

 

데레사 쿠데륵 세례명과 같은 이름

테레사, 테레시아.

 

 

데레사 쿠데륵 이야기

프랑스 사브리에르의 마슬에서 태어난 성녀 테레사 쿠데륵(Teresia Couderc, 또는 데레사)은 마리 빅토리아로 영세하고, J. 테름 신부가 자기 본당에 세운 교사 봉사회에 입회하여 활동하였다.

테름 신부가 남동 프랑스의 비브레의 선교사로 파견될 때, 그는 테레사와 다른 두 자매로 하여금 라 루베쉭의 성 프란치스코 레지스 경당에서 부녀자를 위한 숙박소를 운영토록 하고, 성 레지스 수녀회의 원장으로 그녀를 임명하였다(1829).

여기서 테레사는 평신도를 위한 피정도 실시하였는데, 1834년에 테름 신부가 타계하자 예수회가 이 경당을 맡았으며, 마더 테레사가 원장으로 있는 성 레지스 수녀회원 12명을 선발하여 피정 지도에만 전념토록 하였다. 이것이 세나클에서 피정을 전담하던 성모 수녀회의 모태였다.

1838년 테레사 수녀는 원장직을 사임하였다. 그러나 수녀회가 재정적인 난관에 봉착했을 때, 그녀는 리옹(Lyon)에 새 수도원을 세웠고, 여생을 평수녀로 봉사하면서 지냈다. 테레사는 1970년 교황 성 바오로 6세(Paulus VI)에 의하여 시성되었다.

 

(출처 : 가톨릭 굿뉴스)

 

 


 

13. 데레사 (수녀)

 

  • 세례명 축일
    10월 1일

  • 호칭 구분
    성녀

  • 가톨릭 성인 이름
    Teresa

  • 신분과 직업
    수녀, 교회학자

  • 활동 연도와 지역
    1873-1897년 리지외

 

 

데레사 (수녀) 세례명과 같은 이름

성면의 데레사, 소화 데레사, 소화데레사, 아기 예수의 데레사, 예수 아기의 데레사, 테레사, 테레시아.

 

 

데레사 (수녀) 이야기

성녀 테레사(Teresia, 또는 데레사)는 프랑스 북서부 바스노르망디(Basse-Normandie)의 알랑송(Alencon)에서 시계 제조업을 하던 성 루이 마르탱(Louis Martin, 7월 12일)과 성녀 마리아 젤리 게랭 마르탱(Maria-Zelie Guerin Martin, 7월 12일)의 아홉 자녀 중 막내딸로 태어났다.

그녀의 원래 이름은 마리 프랑수와즈 테레즈 마르탱(Marie Francoise-Therese Martin)으로, 보통은 ‘소화(小花) 테레사’로 많이 불린다. 그녀는 5살이 채 못 된 1877년 8월 28일 어머니를 여의고 아버지와 함께 리지외로 옮겨 가서 살았다.

어머니를 잃은 충격으로 내성적인 아이가 된 그녀는 둘째 언니인 마리 폴린느(Marie Pauline)의 돌봄을 받으며 성장했다. 하지만 10살 무렵 둘째 언니마저 첫째 언니가 있는 리지외의 맨발의 카르멜 수녀원에 입회하자 그 상실감으로 인해 알 수 없는 병으로 고생하게 되었다.

그녀는 몇 달 동안 심하게 앓았는데, 때로는 경련과 환각을 일으키기도 하고 의식을 잃게도 했다. 어려서부터 성모 마리아에 대한 신심이 특별했던 그녀는 1883년 5월 13일 성모님의 발현을 체험한 후로 그 이상한 병에서 기적적으로 치유되었다.

그녀는 집에 있는 ‘미소의 성모상’ 앞에서 기도하던 중 성모님께서 미소 지으며 자신에게 다가오시는 모습을 보았다고 한다. 그녀는 이듬해 11살의 나이에 첫영성체를 하고 그 얼마 후에 견진성사를 받았다.

성녀 테레사는 1886년 성탄 전야 미사 직후, 훗날 “자서전”에서 ‘완전한 회개의 은혜’라고 부른 특별한 은총을 받았다. 그녀는 자신의 영혼 안에 애덕이 깃드는 것을 체험했고, 또한 이웃을 위해 자신을 온전히 잊어야 하는 이타적 사랑의 필요성을 깨달았다고 한다.

며칠 후 십자가에 달리신 그리스도를 그린 상본을 바라보면서 자신의 영혼 속에서 불타오르는 열망, 즉 다른 영혼들을 돕고 싶은 열망에 사로잡혔다.

그래서 그리스도의 십자가 아래 머무르며 다른 이들의 영혼에 그리스도께서 주시는 구원의 성혈을 전해주겠다는 결심을 했다. 성탄절의 특별한 회심의 은총을 통해 그녀는 예수 그리스도와 사람들에 대한 사랑의 삶을 자신의 소명으로 깨달아 갔다.

하느님을 위해 기꺼이 고통을 참아 받고 죄인의 회개를 위해 헌신하고 싶은 열망을 지닌 성녀 테레사는 14살 때 리지외에 있는 맨발의 카르멜 수녀원에 입회를 신청했다. 리지외의 카르멜 수녀원에는 이미 그녀의 두 언니, 즉 첫째인 마리 루이즈(Marie Louise)와 둘째인 마리 폴린느가 입회해서 살고 있었다.

그런데 수녀원에서는 그녀가 21살이 될 때까지 기다리라고 통보하였다. 성녀 테레사와 그녀의 아버지는 교구의 주교에게 입회 허가를 청했지만 이루어질 수 없었다.

그녀는 아버지와 일곱째 언니인 마리 셀린느(Marie Celine)와 함께 로마를 순례하면서 교황 레오 13세(Leo XIII)를 알현할 기회가 생기자 교황의 품에 달려들어 수녀원 입회를 허락해 달라며 눈물로 호소하기도 했다.

이때 교황은 “하느님께서 원하시면 입회하겠지”라고 대답했는데, 결국 성녀 테레사는 15살 때인 1888년 4월 9일 리지외의 카르멜 수녀원에 입회하였다. 고향으로 돌아온 후 로마에서의 일을 전해 들은 리지외 교구의 주교가 그녀의 입회를 특별히 허락해 주었다고 한다.

그 후 1897년 24살의 젊은 나이로 선종할 때까지 9년 반 동안 그녀의 수도 생활은 지극히 평범하였다. 그녀는 1889년 1월 10일 ‘아기 예수와 성면(聖面)의 테레사’라는 수도명을 선택하며 착의식을 거행했고, 이듬해 9월 24일에 첫 서원을 했다.

성녀 테레사는 다른 수녀들과 마찬가지로 성격이 까다롭고 질투심 많은 곤자가의 마리(Marie de Gonzague) 원장 수녀로 인해 생긴 공동체의 내부 분열로 고통을 당하기도 했다.

그녀는 수도원 내부에서 벌어지는 여러 갈등을 멀리하고, 자신의 기도 생활에 열중하였다. 수도원 규칙을 충실히 따르고 자신에게 부여된 작은 직무들을 성실히 이행하는 평범한 수녀였다. 그녀가 이룬 하느님과의 친밀감과 충실성은 그녀의 자서전이 출판되기 전에는 그 어느 수녀의 눈에도 띄지 않았다.

1893년 2월 20일 그녀는 수련장 보조자 발령을 받아 4년 동안 소임을 수행하였다. 이 시기에 그녀는 ‘작은 길’이라는 자신의 고유한 영성을 갖고 살았다. 그녀의 ‘작은 길’에는 새롭거나 특별한 것은 없다.

오히려 가장 기본적인 그리스도인의 삶의 이상으로, 예수님의 가르침대로 모든 그리스도인이 따라 걸어야 하는 길일 뿐이었다. 그것은 어떤 삶의 방법이 아니라 영혼이 하느님 앞에 서서 지니는 가장 순수한 태도를 의미하였다.

1894년 7월 29일 아버지가 선종한 후 아버지를 돌보던 다섯째 언니 마리 셀린느까지 카르멜 수녀원에 입회해 네 자매가 함께 수도 생활을 하게 되었다.

이렇게 해서 1886년 클라라 관상 수도회에 입회한 셋째 언니 마리 레오니(Marie Leonie)를 포함해 9남매 중 어릴 때 죽은 네 명을 뺀 다섯 자매가 모두 수녀가 되었다.

성녀 테레사는 1894년 10월 말 원장이 된 둘째 언니 폴린느(수도명 예수의 아녜스)의 명으로 “자서전”을 쓰게 되었다. 그러면서 하느님께 받은 은총을 더욱 깊이 깨닫게 되었다.

1896년 4월 처음으로 결핵 증세가 나타나면서 각혈을 시작하면서 건강이 점점 나빠졌다. 하지만 그해 7월 병실로 옮겨 생활할 때까지 그녀는 수녀원의 기본 의무들을 충실히 지켰다.

병실로 숙소를 옮기고 마지막까지 고통을 겪으면서도 그녀는 “자서전”을 마무리해 나갔다. 이를 통해 자신이 경험한 ‘작은 길’을 모든 이들에게 알려야 할 사명을 수행하고자 했다.

1897년 8월 9일 마지막 성체를 모신 성녀 테레사는 9월 30일 저녁, “나의 하느님, 당신을 사랑합니다. 저는 당신을 사랑합니다! 저의 소명, 마침내 저는 그것을 찾았습니다. 제 소명은 바로 사랑입니다. 그렇습니다. 저는 교회의 품 안에서 제 자리를 찾았습니다. 저의 어머니이신 교회의 심장 안에서 저는 ‘사랑’이 될 것입니다.”라는 마지막 말을 남기고 숨을 거두었다.

성녀 테레사가 선종하고 1년이 지나자 카르멜 수녀회는 통상적인 관습대로 그녀의 “자서전”을 비공식 출판해 여러 카르멜 수녀원으로 보냈다. 그런데 그녀의 “자서전”을 읽고 감동한 수녀와 신자들의 요구로 공식적으로 출판하게 되었다.

해가 갈수록 그녀의 글은 큰 관심을 받아 불과 10여 년 만에 여러 나라 언어로 번역되었고, 여러 나라에서 수백만 권이 넘게 보급되었다.

세계 여러 곳에서 일어난 성녀 테레사에 대한 반응은 가히 놀라운 것이었다. 교황 비오 11세(Pius XI)는 이 반응을 ‘폭풍과 같은 열광’이라고 불렀다.

그래서 시복과 시성을 위해서는 적어도 사후 50년을 기다려야 하는 교회 관례를 무릅쓰고, 교황 비오 11세는 성녀 테레사가 선종한 지 26년만인 1923년 4월 29일 시복식을 거행하고, 곧이어 1925년 5월 17일 시성식을 갖고 ‘아기 예수의 성녀 테레사’로 선포하였다.

성녀 테레사는 아버지와 함께 로마를 순례했을 때 외에는 고향인 알랑송과 리지외를 한 번도 떠난 적이 없었다.

그러나 일평생 다른 영혼의 회개와 구원을 위해 보속의 삶을 살았기에, 교황 비오 11세는 1927년 12월 14일 그녀를 성 프란치스코 사베리우스(Frianciscus Xaverius, 12월 3일)와 더불어 ‘선교 사업의 수호자’로 선포하였고, 교황 비오 12세는 1944년 5월 3일에 성녀 잔 다르크(Joanna Arcensis, 5월 30일)에 이어 프랑스 제2의 수호자로 선포하였다.

그리고 교황 성 요한 바오로 2세(Joannes Paulus II, 10월 22일)는 성녀 테레사의 선종 100주년이 되는 1997년 6월 10일 그녀를 보편교회의 교회 학자로 선포하였다. 그녀가 남긴 저서로는 “성녀 소화 테레사 자서전”, “성녀 소화 테레사의 마지막 남긴 말씀”이 있다.

 

(출처 : 가톨릭 굿뉴스)

 

 


 

14. 데레사 (설립자)

 

  • 세례명 축일
    10월 15일

  • 호칭 구분
    성녀

  • 가톨릭 성인 이름
    Teresa

  • 신분과 직업
    설립자, 신비가, 교회학자

  • 활동 연도와 지역
    1515-1582년 아빌라

 

 

데레사 (설립자) 세례명과 같은 이름

대 데레사, 대데레사, 테레사, 테레시아.

 

 

데레사 (설립자) 이야기

성녀 테레사(Teresia, 또는 데레사)는 에스파냐 카스티야(Castilla)의 아빌라에서 신심 깊은 아버지 알론소 산체스 데 세페다(Alonso Sanchez de Cepeda)와 어머니 베아트리스 데 아우마다 이 쿠에바스(Beatriz de Ahumada y Cuevas)의 딸로 태어났다.

그녀는 어려서부터 고향에 있는 아우구스티누스회 수녀원이 운영하는 학교에서 교육을 받았고, 19세 때에 아빌라의 강생 카르멜 수도원에 입회하였다.

오랫동안 수도생활을 갈망해오던 그녀는 1537년 11월에 수도서원을 했으나 지병으로 잠시 수녀원을 떠났다가 돌아오기도 했다.

20년 가까이 수도생활에 정진한 그녀는 극심한 고행으로 인해 몸이 쇠약해져 죽음의 문턱에까지 가기도 했으나, 40세에 이르러 내적 회심의 체험을 하게 되었다.

특히 그녀는 1554년 수난 받는 그리스도를 만나는 체험을 통해 내적 회심을 경험한 이후 여러 번 환시를 보고 신비스런 음성을 들었는데, 알칸타라(Alcantara)의 성 베드로(Petrus, 10월 19일) 신부의 영적 지도를 받을 때까지는 불안에 떨어야 했다. 성 베드로 신부는 그 모든 환시가 진실한 것임을 그녀에게 확신시켜 주었다.

격렬한 반대를 무릅쓰고 그녀는 그 당시의 다소 느긋한 수도생활보다 카르멜회의 초기 규칙대로 보다 엄격한 수도 생활을 원하는 4명의 수녀들과 함께 '맨발의 카르멜회'(discalceati)를 시작하면서 아빌라에 성 요셉 수도원을 세웠다(1562년).

1567년 카르멜회의 총장인 루베오 신부는 성 요셉 수도원과 같이 엄격한 규칙을 따르는 다른 수도원을 세우도록 그녀에게 허락하였다. 메디노 델 캄포에 제2의 수도원을 세울 때 그녀는 십자가의 성 요한(Joannes a Cruce, 12월 14일)이란 젊은 수도자를 만났으며, 1568년에는 두루엘로에 남자를 위한 최초의 수도원을 세웠다. 이것이 최초의 맨발의 카르멜 남자 수도회였다.

성녀 테레사는 에스파냐 전역을 다니면서 카르멜 수도원의 개혁을 위해 노력했으나, 1575년의 총회에서는 그녀의 개혁 그룹을 제한하기도 했었다. 1580년까지 카르멜회 내부의 완화파와 개혁파 간의 투쟁은 격심하였다.

이윽고 교황 그레고리우스 13세(Gregorius XIII)는 개혁을 추구하는 '맨발의 카르멜회'를 완화 카르멜회로부터 분리시켜 독립 수도회로 인정하게 되었다.

성녀 테레사는 수많은 편지와 책을 지었는데, 이 모두는 영성 문학의 고전이 되어 널리 읽혀지고 있다. 그 중에서 자서전인 "천주 자비의 글"(1562-1565년), "완덕의 길"(1565년), "영혼의 성"(1577년) 등이 특히 유명하다.

그리스도교 역사상 가장 돋보이는 신비가 중의 한 명인 성녀 테레사는 지적이고 빈틈없는 사람이었으며, 매력적이며 깊은 영성을 지녔다. 그녀는 차원 높은 관상생활과 더불어 수준 높은 활동생활을 성공적으로 조화시켰던 위대한 성녀이다.

그녀는 1582년 9월 말경 부르고스(Burgos)에서 아빌라로 가는 도중 알바 데 토르메스(Alba de Tormes) 수도원에 머물던 중 병세가 악화되어 10월 4일 선종하였다.

그녀는 1614년 교황 바오로 5세(Paulus V)에 의해 시복되었고, 1622년 교황 그레고리우스 15세에 의해 시성되었다. 그리고 1970년 9월 27일 교황 성 바오로 6세에 의해 여성으로서는 처음으로 교회학자로 선포되었다. 그녀는 '예수의 성녀 테레사'로도 불린다.

 

(출처 : 가톨릭 굿뉴스)

 

 


 

그 외 세례명 이름으로 찾기

 

이름순 가톨릭 세례명

본받고 싶은 가톨릭 성인 찾기

pieonane.com

 


 

그 외 세례명 날짜로 찾기

 

날짜순 천주교 세례명

어떤 세례명이 좋을까?

pieonane.com

 

 

반응형